이명박 정부의 '비핵ㆍ개방3000 전략' 한계로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 '조건 없는 대화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각론으로 들어가서는 박 후보의 경우 '구체적 프로세스가 갖춰져 있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고 문 후보는 '북한에 지나치게 유연한 스탠스를 보인다'는 지적을 받는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햇볕정책을 비판하며 추진된 대북 강경정책의 기조는 '북한이라는 그릇에 물을 빼면 결국 문을 열 것'이었는데 실제로는 중국이라는 새로운 물이 들어와 오히려 북한의 실리를 빼가는 쪽으로 갔다"며 "교류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두 후보의 입장이 일치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세부 각론으로 들어가면 북한과의 교류를 어떻게 재개할까를 두고 양측의 방법론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박 후보의 접근법을 두고 류길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박 후보의 대북정책 키워드는 '신뢰'"라며 "현실에 토대해서 협력해나가고 필요한 분야와 이슈를 통해 남북 간 신뢰를 점진적으로 쌓아나가자는 것"이라고 했다.
반면 문 후보의 대북정책에 대해 차창훈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한반도 평화구상과 남북경제연합이라는 구체적인 실천 로드맵을 활용해 대북 문제를 풀어가겠다는 접근"이라고 설명했다. 한쪽은 현실을 염두에 둔 신뢰구축이라는 '신중론'을, 다른 쪽은 대화 의지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적극성'을 띠고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전략적 접근 방식 때문에 박 후보의 정책은 남북관계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세스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실질적으로 남북관계를 어떤 식으로 풀어가겠다는 프로그램 제시가 없다"며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정책은 구체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문 후보의 정책은 연평도 사건 등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나치게 대북 유화적인 발상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문 후보의 대북정책은 박 후보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차원에서인지 너무 강하게 나가는 부분이 있다"며 "취임식 때 북한 측 인사를 초청하겠다는 공약 등은 지나치게 돌발적"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