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규 중소기업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최근 중기중앙회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정부의 창조경제 관련 사업에 참여하거나 도움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한 업체가 96.4%나 돼 정책과 현장의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중소기업이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사업에 진출할 때 애로사항으로 전문인력과 기술,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꼽았다. 최 본부장은 "예를 들어 개인서비스 로봇이나 생체신호 측정, 물리보안 등이 유망 분야로 꼽히지만 중소기업은 융·복합 과정보다는 각각 기술의 개발 단계상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며 "융·복합 전문인력과 시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사업화 개발능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창조경제 프로젝트가 대기업 중심으로 설계돼 있어 중소기업이 능동적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어렵다"며 "참여하더라도 대기업 협력사가 주로 선정되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정책 대안으로는 새로운 사업 모델 창출과 시장진출 공동 모색,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중소·벤처기업 지원 등이 제시됐다. 김영수 벤처기업협회 전무는 "2000년대 초 벤처 환경이 조성되기 시작해 지금까지 벤처기업의 여건이 많이 발전됐고 가시적 성과를 얻었다"며 "창조경제 역시 지속성을 띄어야 벤처 환경이 지속적으로 더욱 좋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무는 "계속 문을 열고 있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중소·벤처기업이나 스타트업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