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의 이런 요구는 어느 회사도 받아들이기 힘든 것들이다. 무조건적인 정년 연장이 대표적 예다. 정년을 연장한 기업들은 하나같이 임금피크제를 전제로 도입했다. 순익 30% 성과급 배분의 경우 현대차 노조가 매년 되풀이하는 단골 메뉴다. 통상임금 확대는 사실상 전 산업계 차원의 현안이어서 현대차 혼자만의 문제도 아니다. 현재와 같은 노사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 또다시 파업과 생산차질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연례행사처럼 재연되는 현대차 노사의 대립은 노사협력을 통해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는 독일 폭스바겐 등 해외 자동차 업체와 대조적이다. 폭스바겐의 경우 올 상반기 미국 테네시 공장 생산직원들 스스로 전미자동차노조(UAW) 가입을 거부했고 독일 본사에서는 본사 공장 근로자를 줄이는 대신 해외 공장을 확대한다는 회사 방침에 노조가 동의했다.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회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노사상생 외에 길이 없다는 인식의 공유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지금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졸면 죽는다'는 말 그대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잖아도 국내 자동차 업계의 경영환경은 원화강세 등으로 악화일로다. 현대차는 지난달 유럽 지역에서 3만5,636대를 파는 데 그쳐 유럽·일본 업체의 약진 속에서 홀로 후진했을 정도다. 글로벌 경쟁에서 낙오할 경우 회사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노조도 공동 운명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