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표는 이날 오전 63빌딩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이 대통령의 취임 4주년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명백한 선거 개입"이라며 입장표명을 요구했다. 그는 "우리나라 역사상 대한민국 대통령이 야당 대표의 실명을 거론하고 옛 정권 인사들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선전포고하는 예는 없었다"며 "인신공격하는 식으로 선거전략을 세우는 것은 옳지 않으며 품격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남은 1년 동안이라도 이 대통령이 사과와 반성을 기반으로 해서 내각을 바꾸고 새로 시작한다면 국민들은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일 것"이라며 '내각 총사퇴'를 다시 주장했다.
박 위원장에 대해서도 "난폭운전을 하는데 운전석과 조수석에서 함께 나란히 갔다"며 "(현 정권의 실정에) 방조하고 동참했다"고 공동책임론을 제기했다.
박 위원장이 지난 20일 같은 토론회에 출연해 '민주당 심판론'을 제기한 것과 관련해서는 "새누리당이 쇄신을 하고 있지만 정권심판론을 넘어설 수 있을까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어 전략으로 내세운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 대표가 정부와 새누리당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높인 것은 다가오는 4∙11 총선을 앞두고 현 정부의 국정실패를 명확하게 부각시키면서 지지층을 끌어모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한 대표는 총선에서 '원내 제1당'을 향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제 개인적 생각으로는, 그리고 민주통합당 많은 분들의 생각으로는 과반을 하고 싶다"며 "4대강 문제를 비롯해 부패∙비리 청산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 많다"고 밝혀 과반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면 현 정부가 추진한 사업들을 전면 재검토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박희태 국회의장의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에 대해서도 "총선이 끝나고 새 국회가 시작되면 이 부분에 대한 국정조사를 해 진실을 밝힐 의무를 갖게 된다"며 여권을 향한 공격을 시작할 것임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 대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서는 "(현 정부에서 재협상을 하면서) 이익의 균형이 깨졌고 신자유주의는 이제 자기성찰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3월15일로 예정된 FTA 발효를 중단하고 전면 재협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 정부에서 국무총리직을 수행했을 때와 한미 FTA 관련 발언이 바뀌었다는 질문과 관련해서는 "상황이 달라지고 국민의 삶이 힘들어지면 그것을 직시한 후 (의견을) 수렴해 올바른 정책으로 가는 것이 지도자가 갖춰야 할 결단"이라고 반박했다.
한 대표는 이밖에 당내 공천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특정 세력의 배제설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만든 원칙과 기준에서 누구든지간에 공정한 룰을 적용하고 있다"며 "옛 민주계 중도성향이나 관료 출신을 구획지어서 불이익을 주는 기준은 있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호남 물갈이'에 대해서도 "특정 지역의 인위적 물갈이는 없다"고 일축하면서도 "호남 지역 언론들의 조사에 따르면 호남 의원들의 교체 확률이 높다는 것이 이미 발표됐다"며 물갈이 비율이 결과적으로 상당히 진행될 것임을 시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