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30일 각 지역구 책임자인 당원협의회 위원장 및 내년 4월 재보선 후보 선정에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진행한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나는 (당 대표 권한인)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기 위해 당 대표가 된 사람"이라며 "당협위원장 선정에 국민의 뜻을 묻기 위해 전부 여론조사로 하기로 결심했다. 나는 일절 거기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선고에 따라 내년 4월 치러지게 된 재보궐선거 후보에 대해서도 "100% 지역주민의 뜻에 맡기고 내년 1월 안으로 공천해 빨리 선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새누리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지난 11월 공석으로 남아 있는 서울·경기·충북 등 12곳의 당협위원장 공모를 진행했으나 아직 선정하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각 지역 당협위원장 선정을 놓고 당내 친박계-비박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현재 서울 중구에서는 친박계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지상욱 전 자유선진당 대변인과 민현주 의원이, 수원 갑에서는 서청원 최고위원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박종희 전 의원과 김상민 의원이 각각 경쟁하면서 친박계-비박계의 대리전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당협위원장은 당의 지역구 조직을 장악할 수 있고 지역주민들에게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총선 공천을 위해 유리한 자리로 꼽힌다.
당 대표의 고유권한으로 여겨졌던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당에 대한 장악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김 대표는 "나는 당을 장악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친박계를 중심으로 김 대표 체제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김 대표는 최근 친박계 좌장으로 꼽히는 서청원 최고위원과 여의도연구원장 인선 문제를 놓고 정면충돌하기도 했다.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해 한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 대표 취임 2년 차에 접어드는 시기를 맞아 대표 경선 당시 내놓았던 공약을 다시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당협위원장, 재보선 후보를 여론조사로 결정하더라도 자신이 있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김 대표의 '몸 낮추기'가 2016년 총선 공천 전까지는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김 대표는 19일 박근혜 대통령이 일부 친박계 중진들과 비공개 회동을 가진 것에 대해 "대통령께서 그렇게 의원들과 대화도 하는 건 좋은 일"이라고 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