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사진) 민주당 대표가 '6ㆍ2지방선거' 승리 카드로 과감한 문호개방과 연대, 승리 후 공동지방정부 구성 등을 제시했다. 특히 정동영 의원의 복당과 관련해서는 처음으로 "지방선거 이전에 이뤄질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정 대표는 7일 서울 영등포당사에서의 신년 기자회견을 갖고 "6ㆍ2지방선거는 이명박 정부 실정에 대한 중간평가와 심판의 장"이라고 규정한 뒤 "시민공천 배심원제 도입 등 공천 혁신과 범야권 자치연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야권 통합의 방법론으로는 공동지방정부를 제시했다. 다른 야당과 손잡고 단일후보를 낸 뒤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공동으로 지방정부를 구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우상호 대변인은 이에 대해 "단순하게 지역분할 연대만으로는 군소정당과의 선거공조가 한계가 있다"면서 "군소정당과의 연대 가속화를 위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선거 승리를 위해 전략공천과 거물급 인사들과의 통합 필요성도 역설했다. 정 대표는 "필요하면 당헌ㆍ당규에 따라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전략공천도 당연히 할 수 있게 문이 열려 있다"고 밝혔고 정동영 의원의 복당에 대해서는 "시기가 임박하고 있다는 것은 여러분도 느끼고 있는 것 아니냐"면서 조기 복당에 긍정적 입장을 보였다. 우 대변인은 이에 대해 "대표가 공개적으로 밝히기는 처음으로 복당은 시기 조율만 남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정 대표는 오는 6월 대표직 임기 만료 후 거취 문제와 관련, "일단 지방선거 승리 후에 국민과 당원의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말해 연임 도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예산안과 노동법안을 두고 연말 국회의 격돌에서 패배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내용적인 부분과 결과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가 필요하다"면서 "결과에 대해서는 책임을 느끼지만 내용의 측면에서는 소수 인원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변화의 방향에 대해서도 소상히 밝혔다. 정 대표는 ▦시민정책배심원제 도입 ▦국민생활정책위원회 신설 ▦온라인과 휴대폰으로 연결되는 전방위적 네트워크 구축 ▦'뉴민주당 플랜'에 따른 분야별 정책의제 제시를 통해 생활정치 구현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