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비대위원 한 분 한 분은 선당후사의 각오로 당의 재건에 흔쾌히 참여하기 위해 결단한 분들"이라며 "만약 이런 결단을 왜곡 폄훼하는 일이 있다면 결코 가볍게 여길 사안이 아니다"라며 당 안팎에서 일고 있는 비판의 목소리에 경고를 보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이 같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비대위 구성에 대해 정면으로 비판을 가했다. 김영환·조경태 의원 등이 비대위 구성 문제를 비판하고 중도 성향 의원들이 전날 문 위원장에게 "중도파 의원 중에서 한명을 비대위원에 포함시켜달라"고 요구한 데 이어 이 의원도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 이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가 부족장 회의처럼 구성된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모든 부족장이 참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선수가 심판처럼 규칙을 만드는 것도 모순인데 더구나 일부 선수끼리만 규칙을 만들고 거기에 못 낀 선수들에게 불리한 담합이 생기면 어쩌겠나 하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 위원장이 제기한 전당대회 모바일투표제 부활도 결국 내부 반발에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박 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당 통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야지 혁신하겠다면서 당을 분열로 끌고 가면 안 된다"며 "특히 책임을 맡은 분들은 책임 있는 발언을 해야 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문 위원장을 재차 겨냥했다. 문 위원장에게 전날에 이어 이날도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정 위원도 가세했다. 그는 "비대위 본연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면 우리에게 더 이상 기대할 게 없을 것"이라며 "본질과 무관한, 불필요한 논란에 휘말리면 세월호 규명과 당 혁신을 꿈꿀 수 없다"고 우회적으로 문 위원장을 겨냥했다. 이에 따라 문 위원장은 결국 모바일투표 카드를 접었다. 그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당대회) 룰에 대한 합의가 없는 한, 편파적이라 생각하는 후보나 어떤 사람들이 있는 한 채택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