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도 “롤로코스터를 탔다가 내린 기분이네요” 서울 지하철 9호선 양천향교역 인근 K부동산 관계자는 양천향교 앞 13만3,694㎡의 땅이 개발허가제한구역에서 풀린 데 대해 이렇게 말했다. 양천향교 역 일대는 3년 전만 해도 신도시급으로 개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던 지역. 하지만 지금은 투자자들의 기억 저편으로 잊혀졌다. 이 곳이 주목 받은 시기는 2008년 강서구청과 토지주택공사(LH)가 공영 개발 계획을 검토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CJ공장부지(9만1,732㎡)와 대상 부지(5만9968㎡) 등 주변 준공업지역 땅을 사들인 뒤 한데 묶어 도시개발사업 방식으로 공영 개발하겠다는 것이었다. 뉴타운급 개발 소식에 곧바로 투기 바람이 불었고, 강서구청은 2008년 7월 이 일대 땅에 대해 개발행위를 제한했다. 무분별한 개발이나 지분 쪼개기가 이뤄질 경우 사업성이 떨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하지만 서울시가 2009년 10월 준공업지역 개발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계획이 틀어졌다. 준공업지역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세제 및 자금 지원, 용적률 상향 등 각종 인센티브를 주자 CJ와 대상이 자력 개발로 방향을 틀었다. 특히 대상은 22층 규모의 지식산업센터 건축 계획을 마련해 지난해 말 서울시로부터 건축 승인까지 받았다. 또 CJ는 지구단위 계획안을 마련해 서울시 심의를 받고 있다. CJ와 대상 부지가 제외된 이후에도 강서구청은 양천향교 앞 땅에 대해서는 개발행위 허가제한을 풀지 않았다. 강서구청 관계자는 “이 지역만이라도 별도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관리할 필요성이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에는 도로 등 기반시설 설치 비용이 걸림돌로 떠올랐다. 수십억 원에 이르는 기반시설 설치비용을 구 재정으로 충당하기에는 부담이 컸던 것이다. 결국 지난달 말 강서구청은 양천향교 앞 땅에 대해서도 개발행위를 허가하도록 결정했다. 양천구청 관계자는 “도로 정비에 따른 주민들의 민원 발생소지와 비용 문제로 인해 지구단위계획 수립 계획을 철회했다”면서 “결과적으로 3년간 주민 재산권만 묶어온 꼴이 되고 말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