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민간 부위원장은 3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지역회의 특강에서 통일준비위 업무 방향을 소개하면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그는 "통일헌장은 우리가 추구하는 통일의 궁극적 상이라고 볼 수 있다"며 "지금까지 통일에 대한 가장 중요한 문서는 냉전 체제가 무너지기 전인 25년 전에 만들어진 1989년 민족공동체 통일 방안인데 이제는 새로운 청사진, 밑그림을 그릴 때"라고 말했다.
또 "통일헌장에는 1차적으로 헌법적 가치가 검토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이 담길 것이며 자유·인권·시장·복지·민주주의 같은 인류보편적 가치가 통일의 밑거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세기 문명사적 변화를 반영하는 통일국가가 우리가 추구할 인류보편적 가치에 바탕하는 통일의 상이라는 것이다.
정 부위원장은 또 남북관계 경색 장기화에 대한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남북관계를 더 방치하면 대단히 어려운 상황에 빠져들 수밖에 없고 분단의 고착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이젠 새로운 남북관계를 다져나가야 할 역사적 시기에 우리는 살고 있고 대통령도 비슷하게 생각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남북관계가 대단히 위축됐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힘들다"고 지적하고 "사실 그동안 정부는 대북정책을 추구해왔지만 제대로 된 통일정책은 갖지 못했으며 2000년대 초반 햇볕정책도 기본적으로 통일정책이 아닌 대북정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 부위원장은 통일준비위가 북한의 경제개발협력을 위해 관련 부처, 연구소와 함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로 하고 태스크포스를 구성한 사실도 공개했다. 그는 "내년 광복 70주년을 맞이해 조그만 통일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을 갖고 있다"며 "DMZ세계평화공원이라든지 나진-하산 프로젝트 등 정부가 추진하는 여러 프로젝트가 있는데 이런 것이 일정 부분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