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남기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와 신연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교수 연구팀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신경세포의 신경물질 전달 과정을 단계별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남기ㆍ신연균 교수 연구팀은 뉴런의 신경전달과정인 세포막융합에서 생체막 단백질(시냅토태그민)이 비슷한 작용을 하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융합속도를 약 1,00배 이상 빠르게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신경세포전달은 뉴런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으로 '세포막 융합'이라는 독특한 방법을 이용한다. 시냅토태그민은 바로 이 세포막융합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치매나 각종 난치성 뇌질환은 뉴런의 신경전달과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이 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시냅토태그민의 작용을 관찰하면 뇌질환의 원인도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세포막 융합에 여러 단백질 간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것은 보고됐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융합이 일어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시냅토태그민은 신경전달에 매우 중요한 칼슘과 강하게 결합하는 특징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으나 정확한 역할이 규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 교수는 "최종적인 목적은 치매와 난치 뇌질환의 치료"라며 "현재 후속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유럽과학지(EMPO Journal)'에 온라인 속보(10일)로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