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2차 시·도지사 예산·정책협의에서 “유가족은 이미 지난 7월10일 3자협의체 구성 제안한바 있으며, 이제는 여당이 3자협의체 구성방안을 받아들일 시점”이라며 이 같이 주문했다.
그는 이어 “그 동안의 협상과정에서 빚어진 채널 혼선 등 과정의 불신을 걷어내야 한다”면서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가 어제 ‘유연하게 전향적으로 접근하겠다’고 했다. 이러한 뜻을 하나로 묶어 불신을 넘어 진상규명으로 가기 위한 3자간 논의가 바로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유가족 측에서는 3자간 논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고, 새누리당에도 제가 이 뜻을 전했다”며 “세월호법은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 차원을 넘어 이제는 이 사회의 최대 갈등요인을 극복하는 벽이 됐다”고 말했다. 또 “이 벽을 넘어야 상처받은 국민을 치유하고 국회도 정상적 가동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우리 모두 지혜와 인내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 원내대표는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지 넉달 그리고 열흘되는 날”이라며 “진상규명이 가능한 특별법을 제정하라고 말하는 유민아빠는 목숨건 단식을 병원서도 계속하고 있고, 대통령 면담을 요구하는 유가족이 청와대 앞에서 밤을 지새우고 있다. 이 상황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스럽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는 “미흡하나 여야협상을 통해 진상조사위 구성에 진전이 있었고, 특별법도 진전있었으나 유가족이 부족하다고 하니 더욱더 끝까지 노력하겠다”며 “이는 정부여당에 대한 유가족들의 불신에서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