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말 행복해서 하늘을 뚫고 날아갈 것 같아요."
4년 전 광저우에서 '노 골드' 수모를 겪었던 한국 레슬링에 8년 만에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안긴 정지현(31·울산남구청). 30일 인천 도원체육관에서 열린 인천아시안게임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71㎏에 출전, 일방적인 승리를 거둔 그는 "나이가 많아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무대에서 금메달을 따 벅차다"며 "행복하다"는 말을 반복했다.
지난 2002년 부산에서 첫 아시안게임을 경험한 정지현은 2010년 광저우 은메달에 이어 12년 만에 금빛 숙원을 풀었다. 그는 이날 결승에서 딜쇼드존 투르디예프(우즈베키스탄)를 테크니컬 폴로 꺾고 우승했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금메달 이후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에서 한 번도 금메달과 인연을 맺지 못한 정지현으로서는 10년 만에 한을 푼 것이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해도 메이저 국제대회에서 따낸 10년 만의 금메달. 정지현은 "오랜만의 금메달이라 감회가 새롭다. 아테네올림픽 이후 국제대회 금메달이 거의 없어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많았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이를 악물었기에 오늘의 영광이 있다"고 소감을 이어갔다.
2010년 광저우에서 첫째의 태명을 '아금이(아시안게임 금메달)',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둘째의 태명을 '올금이(올림픽 금메달)'로 지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던 정지현은 이번에야말로 금메달을 목에 걸고 당당하게 가족에게 감사를 전할 수 있었다. 그는 "아금이·올금이에게 태명을 지어주며 한 약속을 이루지 못했는데 이렇게나마 이루게 돼 기쁘다"며 "집에서 애들을 보느라 고생한 아내에게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 60㎏급 금메달을 땄던 그는 10년 만에 체급을 71㎏까지 올려 금메달 꿈을 이뤘다.
이에 대해 정지현은 "원래 아래 체급이다 보니 같은 체급의 선수에 비해 키와 덩치에서 밀린다"면서 "힘대힘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스피드와 기술·지구력으로 승부했다"고 설명했다. "하루하루 심장이 터져라 훈련하고 준비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정지현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오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도전 여부는 모르겠다. 아시안게임만 바라보고 뛰어 지친 만큼 지금은 푹 쉬고 싶다"고 대답했다.
이날 정지현은 아내 정지연(32)씨의 목에 금메달을 걸어주고 두 자녀를 품에 안고 기념촬영을 하며 아내에게 "그동안 고생했다"고 인사를 건넸다. 눈시울이 붉어진 아내 정씨는 "여보 정말 잘했고 고마워요"라고 답하고는 "남편이 고생하는 것을 보고 나도 힘을 내서 아이들을 키웠다"고 미소를 지었다.
한편 태권도 경기 첫날 종주국이자 개최국인 한국은 금메달 소식을 전하지 못했다. 한국은 30일 인천 강화군 강화고인돌체육관에서 열린 이번 대회 태권도 경기 첫날 4개 체급에 모두 나섰지만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에 만족해야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