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원지는 중국이다. 중국 정부가 주가를 받치겠다며 연기금을 동원한 부양책까지 내놓았지만 백약이 무효인 상황이다. 글로벌 위기 때마다 버팀목 역할을 떠맡았던 중국이 흔들리면서 세계 경제가 동반 침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것이라는 위기감마저 팽배해지고 있다. 여기다 북한의 무력도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겹치다 보니 설상가상 격이다. 국제금융계에는 1997년 외환위기의 망령이 아시아를 덮칠 것이라며 '9월 위기설'이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고 한다. 더욱이 외국인 투자가들이 대형주를 중심으로 연일 매물폭탄을 쏟아내는 것도 심상치 않은 조짐이다. 최근 2주간 외국인의 매도규모만도 2조5,000억원을 훌쩍 넘는다고 하니 자칫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현실화하지 않을까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작금의 위기가 혹여 우리 경제의 취약한 기초체력을 드러낸 것이라면 큰일이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자금을 빼내 간다는 것은 그만큼 한국 시장의 매력이 줄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런 때일수록 모든 경제주체가 평정심을 되찾고 선제대응을 통해 자생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환율 상승만 해도 수출경쟁력 향상이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만큼 이런 강점을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한 때다. 당국은 과도한 환율 변동을 억제하면서 경제운용 방향을 정교하게 다듬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는 자세를 갖춰야 할 것이다. 근본적인 체질개선 노력을 통해 외풍에 쉽게 휘둘리지 않는 지속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박근혜 정부는 임기 후반부를 맞아 기존에 추진해온 구조개혁을 완수해 위기를 기회로 삼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