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감 시작 전에 우려했던 무분별한 증인 채택의 부작용이 일부 국감 현장에서 드러나고 있고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매우 커지고 있다"며 "국회가 마치 '갑(甲)'인 것처럼 민간기업에 대해 보여주기 식 감사나 검증을 하는 것은 자칫 경제활성화를 발목잡거나 비효율적 부실검증으로 국민의 지탄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어 "국감은 어디까지나 정부나 공공기관이 정책수행과 운영에서 문제점은 없는지 지적하고 합리적 대안 제시하는, 말 그대로 국정운영을 평가하는 기회"라며 "여야 모두 정략적인 공세나 정쟁 유발 유혹에서 벗어나 국민 대변자로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벌써부터 통제불능 국감, 수박 겉핥기 식 국감 비판 속에 국감 무용론까지 흘러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또 "이런 국감은 본래 취지에도 어긋나고 국민이 원하는 바도 아니다"며 "여야 모두 정략적 공세나 정쟁 유발의 유혹에서 벗어나 민생 우선을 기치로 국민 대변자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우택 새누리당 최고위원도 "마녀사냥 식으로 실제 업무와 연관성 떨어지는 일반증인들을 국감장에 불러다 호통치는 게 정의로운 일이라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며 "오로지 언론보도에만 매달려 이슈 메이킹에 집착하다 보면 국감이 속 빈 강정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국감을 방해하고 있다며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박근혜 정권의 노인연금 사기극의 막장이 어디까지인지 참으로 궁금하다"며 "보건복지부가 기초연금 야당 의원 대응이라는 문건을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배포한 것은 여당 의원들의 발언 지침이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이어 "국감 방해는 헌정질서와 국민에 대한 중대 도발"이라며 "새누리당 지도부는 사과해야 하고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