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매월 850억달러 규모로 실시하는 양적완화(QE) 조치를 이르면 올 중순에 조기 종료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벤 버냉키 의장의 주도로 연말까지 경기부양을 위한 양적완화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지만 시장은 물론 FRB 내부에서도 추가 돈풀기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미국의 출구전략이 예상보다 앞당겨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FRB가 3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몇몇 위원들은 현행 QE조치가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며 '연말보다 훨씬 전에(well before the end of 2013)'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줄이거나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명은 당장 채권매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나머지 의원들은 경기상황을 고려해 올해 말까지 QE를 지속해야 한다는 엇갈린 입장을 밝혔다.
FRB는 지난해 9월 회의에서 월 400억달러 상당의 주택담보부채권(MBS)을 매입하기로 한 데 이어 12월에는 월 45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추가로 사들이기로 결정해 올 들어 매달 85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매입하는 3차 양적완화(QE3) 조치를 실행하고 있다.
FRB는 지난해 9월 QE3를 발표한 이래 고용시장이 '충분히' 개선되기 전까지 자산매입을 지속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다. 이어 12월 회의에서는 통화정책 변경기준으로 실업률 6.5%와 물가상승률 기대치 2.5%를 각각 제시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 현재 미국 실업률은 7.7%로 아직까지는 기준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발생 이래 지속돼온 대규모 돈풀기에 대해 FRB 내부에서도 경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의사록에서는 "대다수 위원들이 9월 이래 시행된 자산매입이 성장을 뒷받침했다고 간주하지만 한편으로 진행 중인 매입의 이득이 불투명한 반면 자산규모 확대에 따른 잠재적 비용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에서도 대규모 QE조치가 초래할 부작용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채권왕'으로 통하는 빌 그로스 핌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날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FRB의 돈풀기가 결국 인플레이션과 달러가치 하락을 초래할 것이라며 양적완화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점차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버드대의 마틴 펠드스타인 교수도 2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에서 "FRB의 '비전통적 통화정책'이 자산시장에 위험한 거품을 일으키며 미래의 인플레이션과 국가부채 증폭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FRB의 정책이 의도대로 자산가격을 끌어올렸지만 양적완화를 멈추면 자산가격 하락 등 심각한 반대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날 의사록에서 QE 조기종료 가능성이 제기되자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WSJ는 자산매입 종료에 대한 언급만으로도 주식과 채권시장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이날 시장의 반응은 2008년 이래 FRB의 부양책에 익숙해진 투자자들의 잠재적 경고라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 위원들의 QE 조기종료 요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FRB의 통화정책 방향이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로스는 이날 공개된 의사록에 대해 "다소 놀랍기는 하지만 대대적인 변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FRB의 정책결정을 주도하는 버냉키 의장과 재닛 옐런 부의장,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방은행 총재 등 이른바 '3총사'가 당장 방향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