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추세라면 중국 정부가 정한 올해 성장률 목표(7.5%)도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지표로 보면 중국 지도부가 여전히 거시경제 전반을 장악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4분기 성장도 중국 정부가 연초에 내놓은 미니 부양책들이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소기업의 소득세 경감 혜택, 소기업과 삼농(농민·농촌·농업) 부분의 대출완화, 판자촌 개조사업과 철도 등 건설사업 확대 정책들이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부양정책의 시차를 고려하면 3·4분기 이후에도 중국 경제의 반등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더라도 중국 경제의 성장정체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리커창 총리가 최근 여러 차례 중국 경제가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용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경기하강 압력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부분을 주목해야 한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으로 성장률 하락은 막았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정체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중국 정부도 내수확대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시장을 노리는 한국 기업들이 유념해야 할 대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