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규 검찰총장 후보자는 17일 자녀의 위장전입 문제와 관련, "제가 변명할 수도 없고 그 점에 대해서는 사려 깊지 못한 행동에 사과 드린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 문제를 둘러싼 야당의원들의 추궁에 "제 불찰이라고 생각한다"며 머리를 숙였다. 여야 장기 대치 속에서 열린 국회의 검찰총장 인사청문회에서 민주당 등 야당은 김 후보자의 위장전입과 세금 탈루 의혹 등 도덕성을 집중적으로 따진 반면 한나라당은 장기간의 검찰 지휘부 공백과 검찰 신뢰회복 등의 대책을 물으며 후보자의 업무수행 능력을 강조했다. ◇또다시 도마 오른 도덕성=야당 의원들은 청문회가 시작하자마자 지난 10년간 위장전입은 중요한 낙마 사유였다며 김 후보자를 강하게 비판했다. 조순형 자유선진당 의원은 김 후보자가 지검장으로 재직했던 지난 2007년 대전지검이 위장전입을 처벌한 건수를 언급하며 "자신은 4번씩 위장전입을 하면서 국민은 처벌해도 되냐"고 꼬집었고 이에 김 후보자는 "송구스럽다"며 거듭 사죄했다. 차장 검사 시절 후보자의 매형이 연루된 사기 사건에 대해 수사팀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이춘석 민주당 의원은 "김 후보자 매형은 당시 'A급 수배자'였는데 40분 만에 (검찰에 의해) 긴급 체포에서 석방 지휘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검찰에 소환될 때 담당 검사에게 내용을 확인해보고 매형이 조사를 받으니 잘 챙겨달라는 이야기는 했다"면서도 "한 점의 부끄러움도 없다"고 적극 부인했다. 탈세 문제도 김 후보자를 괴롭혔다. 야당 의원들은 후보자 부인의 이중 소득공제와 아파트 매매과정에서 '다운계약서(이중계약서)'를 통한 탈세 의혹을 추궁했고 김 후보자는 "관행대로 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나의 잘못이다. 후회하고 있다"며 과오를 인정했다. ◇"권위 세워 검찰 개혁할 터"=김 후보자는 검찰의 신뢰회복 방안과 관련, "법치주의를 지켜 권위를 세우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법치 실종을 우려한 최병국 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에 "검찰의 권위주의는 사라져야 하지만 권위는 세워야 하며 법규정에 입각해 철저히 이행하겠다"면서 이같이 답했다. 김 후보자는 검찰 신뢰회복을 위한 자구노력 의지도 밝혔다. 그는 정치적 고려에 의한 짜맞추기식 수사를 지적한 이주영 한나라당 의원에게 "검사의 수사방식과 자세를 바꾸는 방향으로 연구하겠다"고 강조했고 '스폰서 검사' 문화에 대해서는 "검찰의 직무감찰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공직자 비리 수사처를 신설하고 검찰이 독점한 수사권을 경찰에 넘기자는 야당 의원들의 제안에 대해서는 "(내가 생각하는) 개혁과는 다른 의견"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