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염태영(사진) 수원시장은 18일 수원천 복개구간의 원형 복원에 대해 “도심 하천은 자연형 생태하천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시민 의식의 전환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염 시장은 이날 수원시 팔달구 구천동 소재 수원천 복원구간에서 가진 복원현장 브리핑에서 “시민단체 활동 시절 주장하던 수원천 복원이 완성됐다고 시장이 된 지금 시민들에게 보고하게 돼 감회가 남다르다”며 이같이 말했다.
염 시장은 “지난 90년대 초까지 시민의 절대적 요구는 교통과 주차를 위해 하천을 복개하자는 것이었다”며 “그 후 시민운동으로 도심 하천에 대한 패러다임이 바뀌며 2단계 복개공사를 중지시키고 18년이 지나 복개 구간을 복원하기에 이르렀다”고 회고했다.
그는 “시민의 힘으로 이뤄진 수원천 복원은 한 사람이 추진해 만든 서울 청계천과 10년 앞선 것으로 의미가 다르다”면서 “청계천이 대리석으로 장식된 인공 어항이라면 수원천은 화홍문과 남수문 등 문화재를 간직한 자연형 생태하천” 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994년 수원환경운동센터를 설립한 염 시장은 지동교∼매교 780m 1단계 구간이 복개되자 당시 15개 시민단체를 규합해 ‘수원천 되살리기 시민운동본부’를 결성, 2단계 공사를 중지시키는 등 수원천 복개 반대 시민운동의 중심에 서있었다.
수원시는 이후 2005년 지동교∼매교 길이 780m, 너비 30m 복개 구간 구조물 철거를 결정하고 지난 2009년 복원공사에 착공, 2년 7개월만인 오는 21일 준공한다.
시는 복원공사를 완공을 기념해 오는 21~22일 복원을 기념하는 수원천 축제를 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