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기초선거 공천을 유지하는 대신 제한적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당론을 확정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각 당에서 1차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부적격자만 거른 뒤 나머지에 대해 여론조사를 통해 지지율이 높은 후보를 고르는 형태가 유력하다. 후보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일종의 '예선' 격인 1차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으면 후보를 추려 최종 여론조사를 통해 후보를 확정하는 방식이다. 새누리당이 제한적 오픈 프라이머리를 들고 나온 것은 기초선거 공천폐지 공약의 위헌 논란 등을 피해가면서도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주자는 공약의 취지를 살리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김학용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은 "야당이 최악의 경우 오픈 프라이머리 실시에 합의를 안 해줘도 독자적으로 당헌당규에 넣어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겠다는 데 의원들이 동의했다"며 "(공약이었던) 기초단체 공천제 폐지가 불가능하니까 실현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대안으로 제시한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기초선거라는 선거와 여론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 프라이머리의 특성이 맞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총선 때도 돈과 시간이 많이 들어 (오픈 프라이머리를) 실시하기 힘든데 지방선거 같은 경우는 후보자가 총선의 몇 배"라며 "오픈 프라이머리를 전부 실시하려면 선거 1년 전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론조사를 통해 지지율을 파악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신 교수는 "현재 자기 지역구의 기초의원이 누구인지도 모르는 유권자가 태반"이라면서 "누군지 알아야지 여론조사를 할 텐데 이렇게 되면 여론조사의 의미가 없다"고 꼬집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