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8년 싱가포르 정부는 2008년까지 10개의 해외대학을 유치하자는 'WCUP(World Class University Program) 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2002년에는 15만명의 유학생을 유치해 싱가포르를 세계 교육장의 중심으로 육성하자는 '글로벌스쿨하우스' 전략을 세웠다. 2003년에는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6개 핵심 분야 중 하나로 교육을 지정하는 등 교육산업을 주요 서비스 수출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목표를 정부 차원에서 제시하기도 했다. 이같이 아시아 지역의 교육중심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싱가포르 정부의 비전은 적극적인 대학시장 개방정책으로 이어졌다.
먼저 싱가포르 경제개발청은 분교 유치, 무역개발청은 재정지원과 분교 조성, 관광청은 싱가포르 유학 홍보와 마케팅을 담당하게 하고 5개 정부 부처를 기반으로 범정부기구를 출범시키는 등 정부 차원의 해외대학 유치에 나섰다. 여기에 해외대학이 싱가포르에 분교를 설립할 때 제한이나 조건을 부과하지 않고 대학 당국이 자체적으로 영리추구를 결정하게 하는 파격적인 규제완화 정책을 펼쳤다. 법인세 면제, 보조금 지원 등 경제적 혜택도 아끼지 않았다. 보조금의 경우 2008년부터 3년간 3개 대학에 1만5,400만달러를, 5개 폴리테크닉에 6,900만달러를 유학생 보조금으로 지급했다.
이 같은 정책은 당초 목표보다 훨씬 이른 2003년 중반에 미국 MIT와 존스홉킨스대ㆍ조지아공대, 프랑스 인시아드 등 해외대학 10곳의 유치로 이어졌다. 이들 대학의 수는 더욱 늘어 현재 분교를 유치하거나 공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은 총 21개교이며 이들은 미국 시카고대와 코넬대, 독일 뮌헨공과대, 일본 와세다대 등과 같이 세계적 명문으로 손꼽히는 곳들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세계 유수 대학의 과정을 이수하고 학위까지 받을 수 있게 되자 동남아의 대학 졸업생들은 영국이나 미국 대신 싱가포르 유학을 선택했다. 싱가포르의 유학생 수는 2004년 6만6,000명에서 2010년 9만1,500명으로 늘었다.
대학시장 개방은 싱가포르 자국 대학에도 좋은 자극제로 작용했다. 지난달 발표된 '2013년도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싱가포르국립대(NUS)는 미국 UC버클리대와 노스웨스턴대, 일본 도쿄대 등 세계적인 명문대를 제치고 24위에 올랐다. 이는 해외대학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 했던 NUS가 ▦1,700명의 교수진 중 절반을 외국인 교수로 임명 ▦일반직원들의 수준급 영어 구사 ▦매년 임용한 교수에 대한 엄격한 업적평가로 연봉과 보너스 액수 결정 등 적극적인 개혁을 펼친 결과라고 평가된다.
연세대 교육대학원장을 지낸 한준상 교육학과 교수는 "싱가포르처럼 외국의 유명 대학들이 한국 대학시장에 흥미를 갖도록 재정적ㆍ경제적 혜택을 주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일종의 외국대학시장개방위원회 같은 것을 정부 단위에서 설치해 대학시장 개방을 국가경쟁력 향상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