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청-재하청 구조 속에서 하청업체들이 임금이 비싼 숙련 내국인 근로자 대신 저임금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거 고용하면서 건설근로의 품질이 안좋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술 숙련도도 문제지만 언어소통이 잘 안되는 어려움까지 겹쳐 부실시공 가능성이 전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해 1,676건이었던 하자 조정·심사 접수건수는 올들어 1~4월 네달동안에만 2,000여건으로 폭증했다.
1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하자보수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일부 아파트단지 등에서 부실시공의 주된 원인으로 비숙련 외국인 근로자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건설이 시공해 지난해말 입주한 수도권의 한 아파트 입주민은 “왜 이렇게 마감이 안돼 있고, 급하게 준공을 했을까. 알아보니까 하청업체 인부들이 숙련공들이 아니었다”며 “시공할때 조선족들이 많았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건설 안전업계의 한 관계자도 “지금 우리나라 건설현장의 70% 이상은 외국인 근로자가 차지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심지어 어느 현장은 90% 이상이 외국인 근로자로 이루어진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런 현상은 비단 소규모 건설현장뿐만 아니라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사의 현장에도 마찬가지”라며 “불법 외국인 근로자들은 대부분 미숙련 인력이기 때문에 부실시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제주 해군기지 케이슨 부실공사 논란과 관련, 당시 서귀포시 화순항 공사에 참여했던 한 현장근로자는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비기능공들이기 때문에 함께 일하면 일을 가르치면서 해야 하기 때문에 더 바빠질 수 밖에 없다”며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말이 통하지 않아 정확하게 가르치기도 힘들지만, 가르쳐준대로 하지도 않고 철근이 생긴대로 그냥 대충 짜맞춰 연결해 버린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타일기능장인 A씨는 “완성품질은 숙련공들의 손끝에서 나온다”며 “지금 건설 현장에는 불법 취업 외국인들이 대다수이고, 생산품질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영철 건설경제연구소 소장은 “외국인근로자들은 비숙련자이고, 소위 잡부라고 한다”며 “시설물 자체로 봤을땐 부실공사의 가능성이 매우 커진다”고 우려했다. 자세한 내용은 18일 오후 5시30분 서울경제TV ‘SEN경제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