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21일 도청 상황실에서 김희경 경기도행정2부지사 주재로 2015년도 경기도 FTA 종합대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도 FTA 종합대책을 심의했다.
도는 우선 제조업, 섬유산업, 농업, 수산업, 축산업 등 5개 부문을 상품분야로 묶어 모두 148개 사업에 4,893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제조업 부문에는 FTA활용지원 등 18개 사업을, 섬유산업부문은 원자재 공동구매 등 9개 사업을 지원한다. 농업은 농가 소득안정 등 54개, 수산업은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등 19개, 축산업은 축사시설현대화 등 48개 사업이 지원대상이다.
비상품 분야에서는 문화산업·콘텐츠, 해외 투자유치, 지식재산·분쟁대응, 소상공인·지역 경제 등 4개 부문에 13개 사업 835억 원이 지원된다. 문화산업·콘텐츠 부문은 경기문화창조허브 등 5개 사업이, 투자유치부문은 해외유치단 파견 등 3개, 지식재산·분쟁대응부문은 지재권 창출 권리화 등 2개, 소상공인·지역경제부문은 소상공인 창업지원 등 3개 사업이 포함돼 있다.
경기도 FTA 종합대책위원회는 행정2부지사를 위원장으로 관련 공무원과 도의원, 학계, 경제계와 수혜·피혜분야 관계자 등 FTA관련 산업 분야를 총망라한 1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