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극, 위기를 기회로. 연극 지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 됨에도 관객들은 왜 늘지 않을까? 현재 연극 지원금은 문화예술위원회 43억 원, 지역문화재단 50억~60억 원 등 연간 100억 원 규모이다. 이는 지난해 티켓예매사이트 인터파크 ENT에서 팔린 연극 티켓 매출 102억 원에 맞먹는 수치다. 무용, 전통예술 등 다른 장르의 지원금을 고려할 때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 연극 관계자들은 지원금이 관객 개발로 연결되지 못한 채 비효율적으로 소모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2006년 문화예술위원회의 예술창작 및 표현활동 지원금 1,400만~3,000만 원을 받은 연극 36개(연극제처럼 연속성을 지닌 행사 공연 제외) 가운데 재공연을 한 작품은 7개 밖에 안 된다. 지원금을 받아서 공연을 올렸지만 대중의 관심을 끌거나 평단의 호평을 받은 작품이 많지 않기 때문. 김윤철 연극평론가는 이와 관련 “연극인들이 지원금을 받아 작품을 올리는 타성에 젖어 있다”며 “치열한 목적 의식 없이 작품을 만드니 작품성이 탁월할 리 없고 관객들에 외면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극계는 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 등 예술지원기관의 지원 제도가 소모적인 사전지원에서 효율적인 사후 지원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행 사전지원제도는 작품의 기획의도, 시놉시스 등이 담긴 서류를 통해 지원여부를 결정하고, 지원금이 지출되면 공연을 올리는 방식이다. 반면 사후지원제도는 실연된 작품을 본 뒤 장기적 레퍼토리로 육성하는 방식이다. 서류만 보고 지원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사전지원제도는 공연의 질을 담보할 수 없고 명망가 중심의 지원에 치우칠 수 밖에 없다는 게 연극계의 시각이다. 지난해 문화예술위원회의 공모 심사위원을 맡았던 송현옥 세종대 영화예술학과 교수는 “요약 자료만으로 심사하기가 너무 막연하다”며 “연출가의 역량, 극단의 연혁 등으로 점수가 매겨질 수 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예술지원기관들은 지원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평가단 구성 등의 이유로 사후지원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박명학 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장은 “사후 지원이 효과적인 게 사실”이라면서도 “매년 공모 신청에 연극만 1,000여 작품이 들어오기 때문에 사후심사가 물리적으로 힘든 면이 있다”고 말했다. 안호상 서울문화재단 대표는 “사후지원의 경우 대중의 반응도 무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관객 평가가 필요하다”며 “네임밸류에 취약한 관객들의 평가를 어떻게 반영할 지 등 평가지표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극계는 이런 문제점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계배 한국연극협회 이사장은 “평가단 취향의 차이를 감안터라도 좋은 작품에 대해서는 대체로 일관적 반응이 나온다”며 “평가지표 구성이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송현옥 세종대 교수는 “예심 제도를 도입해 일정 점수 이상 받은 작품에 한해서 심층심사를 하면 작품수 과다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