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부산항만공사와 국토해양부,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동북아 중심항이자 세계 5대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의 관리, 운영을 책임지는 자리여서 항만 전문가 선임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도 부산항만공사 신임 사장 인선을 놓고 또다시 잡음만 무성하다.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임원추천위원회가 응모자 가운데 복수의 후보를 선정,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 추천하고 운영위원회는 후보들에 대한 평가점수를 내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전달하면 장관이 최종 임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현재 BPA 사장에 최종 추천된 인사는 임기택(56)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과 송정규(59) 전 한국도선사협회 회장 등 두 명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어 이들 두 명의 복수 후보자에 대한 최종 평가 절차에 돌입했다.
그러나 최종 평가절차 과정을 밟기도 전에 BPA 내부는 물론 지역 정ㆍ관계 주변에서는 이미 국토해양부 고위직 간부인 임 원장의 BPA 사장 내정설이 파다한 실정이다. 심지어는 임원장의 BPA 사장 임명을 전제로 한 후속인사 명단까지 나돌면서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부산지역 시민단체들은 최근 일제히 성명을 내고 “BPA 사장직에 대한 국토해양부의 ‘낙하산 인사’ 방침은 부산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고위직 인사를 일방적으로 임명하려 한다면 지역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역 시민단체인‘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박인호 공동대표는 “국가경제에 적잖은 비중을 차지하는 BPA 사장 자리가 국토해양부 고위급 인사들의 자리보전용으로 전락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BPA 사장은 전세계를 상대로 발로 뛰며 물동량 확보에 직접 나설 수 있는 글로벌 시각을 가진 CEO형 민간전문가가 선정돼 부산항 경쟁력을 한단계 더 끌어올리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BPA 신임 사장으로 임 원장이 결정될 경우 전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 사무차장 출신인 김춘선 인천항만공사 사장과 박종록 울산항만공사 사장(전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사무차장) 등 국내 주요 항만공사 사장이 대거 국토해양부 1급 고위공무원 출신 인사들로 채워지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