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만원과 320만원.' 4학년 2학기째인 H씨와 K씨가 4개월 동안 대학생 직장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해 얻은 수입이다. 같은 학교 같은 학과에 동갑인 두 사람의 수입이 4배나 벌어진 이유는 연수기관(기업)이 다르기 때문이다. 정보기술(IT)업체에서 연수 중인 K씨의 수입 내역은 정부 지원금 80만원(월 40만원씩 2개월)과 기업지원금 160만원(월 40만원씩 4개월)을 합쳐 320만원. 반면 H씨는 연수기관인 모 복지재단으로부터 4개월간 단 한 푼도 받지 못했다. 초기 2개월 동안 수령한 정부지원금 80만원이 수입의 전부다. 문제는 K씨 같은 경우가 극히 희박하다는 점. 대부분의 기업들이 연수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지급하는 돈은 월 10~20만원 수준이다. H씨는 "처음에는 배운다는 생각이었으나 정부 지원금이 끊기고 더욱이 다른 연수기관에 비해 받는 수당이 적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분노를 삭이고 있다"고 말했다. 학생들에게 매월 8만원씩 지원금을 서류상으로 지급한 뒤 식대 명목으로 다시 가져가는 기업도 있다. 연수생 신분으로는 최고 수준인 월 80만원씩 받는 K씨도 속이 상하기는 마찬가지. IT업계의 특성상 자정까지 이어지는 야근에 주말까지 근무하는 경우도 많다. K씨에게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라는 원칙과 계약조건은 그림의 떡일 뿐이다. H사는 아르바이트와 똑같은 일을 시키면서 직장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알바비'보다 못한 급여를 내주며 '애사심'을 요구해 학생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동일한 연수기관에서 동일한 작업을 하는 대학생들의 수입도 천차만별이다. 정부지원금이 끊기는 3ㆍ4개월 차 이후 학생들의 어려운 처지를 감안해 월 20~40만원의 '특별장학금'을 지급하는 숙명여대와 성신여대ㆍ한성대ㆍ명지대ㆍ동국대ㆍ덕성여대 등의 대학과 그렇지 못한 대학의 차이 때문이다. 최근 특별장학금을 주는 학교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 학교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학생이 훨씬 더 많은 실정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실태 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는 점이다. 정부는 서울경제의 취재가 시작된 후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으나 예산이 한정된 마당에 묘책이 나올 수 있을지 미지수다. 대안은 정녕 없는 것일까. 정부뿐 아니라 대학과 기업들이 머리를 맞대고 함께 고민해야 할 때다. 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연수라는 이름 아래 사실상 단순 노동에 시달리며 불만을 쌓아간다는 사실 자체가 우리 사회의 미래 성장 에너지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