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특파원칼럼] '좋은 먹거리' 수입시스템 만들자
입력2005-10-25 16:38:32
수정
2005.10.25 16:38:32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들은 최근 국내 언론의 머리 기사를 장식하는 ‘중국산 불량 먹거리’에 대한 뉴스에 대해 “너무 과장된 것이 아닌가”라는 반응을 보인다.
중국에 오기 전에는 ‘중국산 농산물=품질 낮은 저가품’으로 인식했지만 중국에 살면서 중국산이 한국산 비해 맛과 품질에서 손색이 없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 주부들은 장바구니를 들고 시장에 가면 두 번 놀란다. 쌀ㆍ과일ㆍ고기 등의 가격이 한국의 20~30%에 불과할 정도로 아주 싼데다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나은 맛과 품질을 접하면서 열린 입이 더욱 벌어진다.
이런 우수한 먹거리들이 한국으로 들어가면 왜 ‘불량’으로 낙인 찍히는 것일까. 허술한 검역체계와 값싼 제품만을 찾는 수입상들, 중국에 진출한 한국 식품가공업체의 위생불감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 ‘재료’는 좋은데 가공ㆍ유통과정에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는 얘기다.
중국 정부가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중국산 김치의 대부분은 한국 업자의 손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항변하는 것도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중국의 허술한 안전의식을 지적하는 국내 여론과는 달리 ‘수입업자의 장삿속’이 농산물 파동의 주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이는 중국산 먹거리에 대한 공포를 없애는 것은 전적으로 우리 손에 달려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잘못을 알았으면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 베이징에서 바라 본 해결방법은 그리 어렵지만은 않다. 농간을 부리는 장사꾼이 설 땅을 원천봉쇄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해결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검역체계와 부도덕한 상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적인 차원에서 현지 감시체제를 구축, 좋은 먹거리를 수입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또 현지 투자를 통해 생산기지와 유통ㆍ가공기지를 만드는 것도 서둘러야 한다. 일본이 중국 현지에서 생산ㆍ가공ㆍ유통을 원스톱으로 처리해 고품질의 먹거리를 수입하고 있는 것은 좋은 벤치마킹 사례다.
담당 기관을 새로 만들 필요도 없다. 중국에 있는 농수산물유통공사의 농업무역관을 활용하면 된다. 다만 베이징과 상하이에 1~2인 무역관을 운영하는 현시점에서 농수산물유통공사에 이 같은 역할을 떠넘기는 것은 무리다. 이른 시일 내에 농업무역관과 담당인력을 확대해 1차 방어선을 공고하게 구축한다면 중국산 식품안전문제는 그리 비관적이지만은 않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