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전문가들 역시 4·1 부동산 대책의 효과에 금리 인하로 인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진다면 부동산 시장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집값 하락세를 주도하던 '하우스푸어'의 경우 금리가 인하됨에 따라 이자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 이전과 같이 급매 형태의 매매가 감소해 집값 하락세를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아울러 시중금리와 부동산 임대수익률 간의 스프레드(금리 간 차이)가 커지면서 수익형 부동산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김규정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자산가들의 투자 형태는 레버리지 없이 자기자본만을 가지고 자산을 운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금융권의 이자율이 떨어진다면 4~5% 이상의 임대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상업시설이나 오피스ㆍ오피스텔 등 임대수익형 상품에 자금이 몰릴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섣부른 기대감은 금물이라는 의견도 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이 유동성이 부족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실물경제의 위기감이 줄어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본격적인 회복세는 실물경제 회복이 동반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전문위원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경우 금리 인하에 따른 투자 수요가 증가할 수 있지만 부동산 시장의 주축인 주거용 부동산 시장은 실수요 시장으로 재편된 만큼 금리 인하 효과가 적을 수 있다"며 "실물 경기 회복이 동반되지 않고서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4·1 부동산 대책 직후 수천만원씩 호가가 급등했던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1단지의 경우 불과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가격이 다시 대책발표 이전으로 회귀하고 있다. 집주인들이 단기간 매도가격을 올려 불렀지만 매수자들이 나서지 않으면서 거래가 두절됐기 때문이다.
한편 한은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4ㆍ1 대책 때 발표했던 생애 첫 주택구입자금 대출 금리의 추가 인하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