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입차시장은 지난해 신규등록 대수가 10만대를 돌파할 정도로 급팽창했지만 비싼 가격과 질 낮은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갈수록 높아져왔다. 특히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판매가격이 떨어지기는커녕 일부에서는 오히려 가격을 올리는 등 배짱영업으로 일관해 소비자들의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 수입차 업체들은 FTA에 따른 관세인하분을 이미 반영했을 뿐더러 신기술과 옵션을 감안해 합리적인 가격을 매긴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믿을 사람은 별로 없다.
공정위는 비록 뒤늦은 감이 있지만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수입차시장의 잘못된 가격체계와 유통구조를 바로잡아 소비자들이 시장개방에 따른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부품가격과 수리공임을 부풀려 책정하거나 이를 동일하게 적용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확실한 답을 내려야 한다. 수입차의 평균 수리비는 1,456만원으로 국산차(275만원)에 비해 5배나 비싸 보험료 인상을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수입차 업계도 당국의 압력에 떠밀려가기보다 이제라도 한국시장 확대에 걸맞은 유통구조와 서비스망을 갖추는 등 본격적인 자정노력에 나서야 한다. 모든 가격에 거품 여부를 세심하게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부품정보를 과감하게 공개해 소비자의 이해를 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브랜드의 힘만 믿고 바가지 장사를 한다거나 소비자들을 봉으로 보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진다면 결국 소비자들이 외면할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국내 수입차시장은 한미 FTA 비준과 소득수준 향상 등을 타고 더욱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수입차 업계는 시장확대에만 급급하지 말고 소비자 편익을 중시하는 환골탈태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