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인 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지난 2011년 6월7~24일 서울 양천구 지역 한부모 가족의 부모 291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끼는 상태(스트레스 지수 41점 이상)인 응답자 비율이 21.34%로 일반 인구의 6.6%보다 3배 이상 높았다고 13일 밝혔다.
또 한부모 가족 부모들의 우울증상 점수가 40.84±8.44점으로 일반 인구 조사의 14.5점보다 3배가량 높았다. 특히 미혼모 가족이며 젊은 연령, 낮은 수입과 학력일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증 증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한부모 가족의 부모들은 갑작스러운 가족해체와 어려워진 경제사정으로 일반인보다 더 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쉽다"라면서 "심각한 스트레스는 약물 오남용과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들을 위한 사회적인 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