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볼 때 이들 모두 실행 가능한 제안이다. 남북 간의 오랜 교착상태를 비정치적 분야부터라도 기어이 풀어보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지에도 공감한다. 북측은 우선 '한반도 생태계연결' 메시지에 귀 기울여야 한다. 한반도 생태계 보존은 미래 세대를 위한 우리 세대의 의무일 뿐 아니라 항구적 남북평화를 정착시킬 기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 정부가 제안한 남북고위급 접촉은 첫 수순이다. 그런 점에서 17일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5주기를 맞아 북측의 화환을 받기 위해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북측의 김양건 통일전선부장 등이 남북 접촉을 하기로 한 것은 반가운 일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19일의 남북고위급 접촉까지 이뤄진다면 남북은 화해를 위한 결정적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방한 중인 프란치스코 교황도 "한반도는 점차 하나가 될 것이므로 이를 위해 기도하겠다"고 축원했고 곧 인천아시안게임에 대규모 북측 참가단이 남한 땅을 밟는 마당이다. 모처럼의 남북화해 호기를 헛되이 보내선 안 된다.
지금 북측에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대결적 자세의 변화다. 핵무기 위협을 일삼거나 미사일 발사로 국제적 위상이 올라가고 남북관계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올해 들어 북측이 공개한 핵 실험 위협이 얼마이고 여기저기 쏘아댄 미사일은 또 몇 발이었나. 그렇게 해서 북측이 국제사회에서 더 떠받들어진 것은 뭐가 있으며 남북관계에 무슨 득을 봤는지 스스로 따져봐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도 북측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14일 교황 방한에 맞춘 듯 방사포 다섯 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유감스러운 무력도발이다. "한반도의 평화는 세계에 절실한 대의(大義)"라는 것은 비단 교황의 메시지에 그치지 않고 한민족 모두의 염원이기도 하다는 점을 북측은 명심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