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설/9월 4일] 낙관 어려운 하반기 경제여건
입력2010-09-03 20:04:04
수정
2010.09.03 20:04:04
2ㆍ4분기 국민소득 통계는 우리 경제의 활력이 당초 예상보다 빨리 둔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갖게 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ㆍ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동기 대비로는 7.2%, 전기 대비로는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의 잠정치와 비교하면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은 7.2%로 같지만 전기 대비 증가율은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또 2ㆍ4분기에는 교역조건까지 나빠지면서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전기 대비 0.5% 증가에 그쳐 5분기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1ㆍ4분기에 비해 경제활력이 떨어진 셈이다. 금융기관의 실적악화와 건설경기 부진 등이 주된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다시 말해 기업 구조조정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대출 등으로 인한 수익악화와 부동산 침체로 성장률이 다소 둔화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큰 이변이 없는 한 올해 5.9% 성장률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상고하저'가 예상되지만 수출이 30% 안팎의 증가율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생산과 투자ㆍ소비 등이 살아나고 있어 크게 꺾이지는 않으리라는 설명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 주요 투자은행들도 올해 한국의 성장률이 6% 정도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악화되고 있는 대내외 요인을 감안하면 결코 방심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미국의 더블딥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고 또 중국도 성장통이 가시화하고 있다. G2의 전망이 불투명한데다 유럽의 재정위기, 일본의 디플레이션 조짐 등도 불안요인이다.
주요국의 성장둔화는 수출감소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더구나 7월 이후 국내의 주요 경기지표들은 일제히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7월 중 광공업생산 증가율은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았고 경기선행지수는 7개월 연속 하락세다. 8월 제조업 BSI도 5개월 만에 기준치를 밑돌았다.
증폭되고 있는 대내외 불안요인을 극복하고 경기확장 국면을 최대한 이어갈 수 있도록 정책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금리인상을 비롯한 출구전략에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환율안정도 주요한 과제로 꼽힌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