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몇 가지 우려를 금할 수 없다. 군의 판단이 성급하고 안이하다 못해 위험스러운 대목까지 읽히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신포급 신형잠수함이 전력화하려면 2~3년, SLBM 개발 완료와 실전 배치에는 4~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지만 자신할 수 있는가. 항상 예상을 깨는 북한의 속성에 비춰볼 때 SLBM 탑재 잠수함이 보다 빨리 등장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대응수단을 갖추고 있다는 주장도 쉽게 와닿지 않는다. 군사위성과 대잠초계기·이지스함과 잠수함 전력이 과연 충분한가. 해군에 대한 투자를 꺼리는 국내 풍토와 한국군이 육군 위주로 운영되기 바라는 미국의 의중이 반영돼 북한의 SLBM 위협을 과소평가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긴급 당정협의에서 밝힌 대로 북의 도발에 가차 없이 대응하려면 그에 걸맞은 준비가 필요하다. 북한이 비대칭 무기를 선보일 때마다 허둥지둥거리는 이유가 무엇인지도 근본적으로 따져볼 때다. 지난해 봄 북한이 날린 불과 수백만원짜리 무인기들로 초래된 혼란을 벌써 잊었는가. 중국에서조차 북의 SLBM이 한국과 미국에 위협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판이다. 대중(對中) 압박용 외교카드로 써먹는 지혜라도 짜내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