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2013년 4월 충남 부여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새누리당 공천을 받아 출마한 이 총리에게 선거사무소에서 현금 3,000만원을 전달했다”고 주장했다. 이 총리가 당시 이 돈을 공식 회계처리하지 않았다고 성 회장은 밝혔다. 성 전 회장은 앞서 지난 9일 스스로 목숨을 끊기 전 경향신문에 전화를 걸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에 대해 이 총리는 이날 오전 국무회의 주재를 위해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성 전 회장으로부터 한 푼도 받은 적이 없다. 어제 다 국회에서 얘기했다”고 반박했다. 이 총리는 지난 13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도 “(성 전 회장으로부터) 후원금 한 푼 받은 적 없다”며 그 동안 제기된 의혹을 해명했다.
앞서 사망한 성 전 회장으로부터 이 총리를 비롯한 현 정권 주요 인사 8인의 명단이 적혀 있는 메모(일명 ‘성완종 리스트’)가 발견되면서 이 총리와 성 전 회장 간의 관계도 주목 받았다. 메모에는 이 총리의 이름만 적혀 있고 금액은 명시되지 않았다. 국무총리실은 10일 두 사람 간 관계에 대해 “19대 국회 당시 1년 동안 함께 의정활동을 한 것 외에는 개인적으로 친밀한 관계가 아니었고 이 총리는 성 회장이 주도한 충청포럼에 가입하지도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12일에는 이 총리가 11일 성 전 회장의 측근 인사인 태안군의회의 이용희 부의장, 김진권 전 의장에게 10여차례 전화를 걸어 성 전 회장이 숨지기 전날 만나서 나눈 대화내용을 추궁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누리당 충남도당의 이기권 전 대변인은 성 전 회장의 빈소가 있는 충남 서산의료원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공개했다. 이에 대해 이 총리는 13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고인이 메모에 (저의) 이름을 남겼고 태안군 부의장이 저와 친분이 있다“면서 ”친분이 있으니 전화해서 알아보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 아니겠느냐“고 해명했다.
한편 이 총리는 14일 오전 8시부터 정부청사에서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생략했다. 이 총리가 모두발언을 생략한 것은 자신이 이번 의혹에 연루된 상황에서 내각 통할권자로서 국무위원들에게 주문과 당부 메시지를 내놓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총리가 지난 2월 17일 공식 취임 이래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생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