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는 29일 총리관저에서 열린 노사정회의 때 이같이 말했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최근 일본 전자·전기업체 히타치(日立)가 과장급 이상에 해당하는 일본 내 관리직 직원 약 1만 1천 명의 임금 체계에서 연공서열적 요소를 없애기로 하고, 소니도 비슷한 방안을 검토하는 등 재계 일부에서 연공서열에 의한 임금체계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일본 최대의 노조단체인 렌고(連合)의 고가 노부아키(古賀伸明) 회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의 임금체계는 임금이나 처우에 관해 노사가 논의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전제하고 “연공서열만 보고 (그것을) 없애야 한다고 하는 것은 조금 난폭하다”며 이견을 표명했다.
고가 회장은 또 이날 노사정 회의에서 “디플레이션 탈피에는 개인 소비를 일으키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인상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물가 상승에 국민 소득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