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이슈 인사이드] 서울시 공공자전거 도입 1년… 어디까지 왔나

이용자 두배 늘었지만 수익은 거의 없어<br>年이용자 1년만에 21만명 돌파 "출퇴근 교통수단 자리매김"<br>DMC등 일부지역에 치우쳐 他자치구 주민들 혜택서 소외<br>민간 사업자 통해 수익창출을

지난 18일 시민들이 서울 마포구 성산동의 서울월드컵경기장 주변에서 공공자전거를 타며 여가를 만끽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길을 가다가 몇 차례 뒤에서 자전거의 경고음을 듣고서야 베를린 시내 어디에나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음을 깨달았다. 보통 보도에 붉은 벽돌을 깔아 알아보기 쉽게 해놓았다. 우리는 언제나 이런 자전거 전용도로가 서울 전체에 깔릴 수 있을까." 지난 2005년 시민운동가 박원순은 3개월 간 독일을 둘러본 감상을 기록한 저서인 '독일사회를 인터뷰하다'에서 이렇게 말했다. 희뿌연 자동차 매연으로만 가득한 도시는 삭막하고 멋이 없다. 강변도로에서 느리지만 평화롭게 굴러가는 자전거 바퀴의 움직임에는 빌딩숲만 들어찬 회색도시가 넘보기 힘든 문화적인 향취가 배어 있다. 시민운동가 박원순은 6년이 지나 서울시장에 당선됐다. 후보 시절부터 박 시장은 자전거 도로 확충에 대한 필요성을 간간이 언급했다. 취임 한 달이 채 안 된 지금 이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된 것은 아니다. 박 시장의 머릿속엔 한강 지천으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주택가와 인근 지하철역을 잇는 자전거 도로의 확충이 장기적인 계획으로 어렴풋이 그려지고 있을 뿐이다. 사실 서울시는 박 시장이 수장으로 오기 훨씬 전 이미 자전거 문화의 중요성을 간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여의도와 상암동 일대를 중심으로 공공자전거 시스템이 도입됐다. 교통카드ㆍ신용카드 등으로 요금을 내고 빌려 타는 공공자전거는 현재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여의도 일대 43개 보관소에서 440대가 운영되고 있다. 공공자전거 이용자수는 지난 6월 연 12만명을 넘어선 데 이어 지금은 21만 5,000명(11월 15일 기준)을 돌파했다. 7일·1달·1년 등 정기회원권을 갖고 있는 이용자 수도 8,512명에 이른다. 하루 평균 이용자수 역시 도입 초기인 3월에는 376명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 10월의 경우 776명을 기록해 7개월 만에 100% 이상 수치가 증가하기도 했다. 임동국 서울시 보행자전거과장은 "이용 고객의 세대는 20~30대가 69.2%로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용 시간대가 오전 9시와 오후 7시 전후에 집중돼 공공자전거가 새로운 출퇴근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정을 듬뿍 갖고 서울시의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는 열성 회원도 많다. 여의도에 사는 재수생 이세희(19)씨는 "처음 공공자전거가 생겼을 때는 하루 단위로 1,000원씩만 내고 이용을 하다가 편리한 점이 많아 연회원권까지 구입하게 됐다"며 "요즘은 매일 아침 학원 갈 때마다 공공자전거를 타고 다닌다"고 전했다. 마포구 상암동에 사는 회사원 신모(33)씨는 "공공자전거가 생긴 이후로 집에서 힘들게 엘리베이터를 타고 자전거를 끌고 내려와야 하는 불편이 사라졌다"며 "건강과 편의를 동시에 챙길 수 있어 일석이조"라고 소개했다. 이제 '첫돌'을 갓 넘긴 서울시의 공공자전거 시스템에는 물론 문제점도 많다. 여의도와 상암동에만 집중적으로 배치가 돼 있다 보니 타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들 상당수는 공공자전거가 서울에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임 과장은 "시민들의 합의를 도출한 다음 자치구와의 협의가 잘 이뤄진다면 이른 시일 안에 타 지역으로도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연간 예산으로 10억 원을 투입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수익은 1억 2,000만원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도 허리띠를 졸라매야 할 시로서는 부담이다. 일부 정치인들은 여의도의 자전거 도로가 특정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텅텅 비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며 공공자전거 시스템이 수익은 없고 공간만 차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그 동안 전반적인 운영을 시가 전담해 오던 방식을 바꿀 생각이다. 민간 사업자 공모를 통해 사업체를 선정한 뒤 내년 3월부터는 운영에 관련된 모든 것을 민간에 맡겨 적극적으로 수익 창출을 꾀하겠다는 복안이다. 여의도 자전거 도로의 갓길에 주차된 차량들이 무방비로 널려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세희 씨는 "얼마 전 어머니가 그곳에서 자전거를 타다가 갑자기 차 안에 있던 사람이 문을 열고 나오는 바람에 경미한 충돌 사고가 일어났다"며 "공공자전거의 활성화와 자전거 도로의 정비는 무관한 일이 아닌 만큼 서울시가 이러한 부분에도 세밀한 주의를 기울여 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서구 사회의 주요 도시들에서는 공공자전거 시스템이 일찌감치 자리를 잡았다.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도시는 프랑스의 파리다. 2007년 7월부터 공공자전거가 도시를 누비기 시작한 파리에는 현재 2만 600대의 자전거가 곳곳에 배치돼 있다. 약 540억 원의 운영비가 투입되지만 광고 수입으로만 연간 770억원 이상을 벌어들인다. 2009년 5월 도입해 현재 5,000대의 공공자전거를 보유하고 있는 캐나다의 몬트리올 역시 운영비의 40% 가량을 광고비로 충당한다. 이들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는 작지만 베를린·워싱턴·바르셀로나·코펜하겐 등지에서도 시민들은 활발히 공공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다. 한현숙 서울시 보행자전거과 주무관은 "공공자전거에 관심을 갖는 서울 시민의 숫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서구 도시들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다"며 "부족한 부분과 문제점을 하나씩 개선해 공공자전거 시스템이 하루빨리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