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통신은 14일(현지시간) 프랑스 지적재산권기구 INPI의 대변인을 인용, 해당 문구에 대한 상표등록 청원 100여 건이 기각됐다고 말했다.
베네룩스3국(벨기에·룩셈부르크·네덜란드)에서도 한 벨기에인이 ‘나도 샤를리다’ 문구를 옷, 장난감, 광고 등에 사용하게 해달라고 상표 등록을 출원했으나 인가 불허 방침을 밝혔다.
상표법 전문가들은 상표가 “공공 정책이나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윤리 원칙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유럽 규정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원래 이 문구를 트위터에 퍼뜨린 요아킴 롱생(39)도 표어의 상업적 이용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롱생은 BBC방송에 “희망으로 가득한 이 슬로건을 누군가가 소유한다는 생각조차 불쾌하다”면서 언론자유를 추구하는 ‘국경없는기자회’에만 그가 만든 문구 도안의 사용을 허락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패션잡지 ‘스타일리스트’의 파리 지사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는 롱생은 지난주 자신의 사무실과 불과 5분 거리에 있는 샤를리 에브도 사무실이 테러를 당하자 ‘나는 자유롭고, 나는 두렵지 않다’는 뜻을 담아 ‘나도 샤를리다’라는 말을 생각해 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