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문 후보는 경북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 ‘대일 5대 역사현안에 대한 구상’을 발표하며 “1965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딘 러스크 미국 국무장관에게 (한일 수교협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섬(독도)을 폭파시켜서 없애버리고 싶었다고 말했다”며 박 전 대통령을 비판했었다. 이에 대해 조윤선 박근혜 캠프측 대변인은 “외교문서에 따르면 이 발언은 일본측에서 한 것으로 돼 있다. 있지도 않은 사실마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왜곡하는 일을 그만두길 바란다”며 문 후보의 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자 문 후보 측은 곧바로 미국 국립문서보관소가 소장한 ‘국무부 (기밀) 대화 비망록’을 반박 근거로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한일 수교문서 서명 한달 전인 1965년 5월 27일 “수교 협상에서 비록 작은 것이지만 화나게 하는 문제가 바로 독도문제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도를 폭파시켜 없애버리고 싶다”고 말했다.
문 후보측이 이처럼 반박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나오자 박 후보측은 박 전 대통령의 발언을 사실상 인정했다. 박캠프측 조윤선 대변인은 “언론에 그런 보도와 기재가 있었다는 사실들은 나와 있다”며 “미국측 특정문서 한 구절에만 의존해 박 전 대통령의 독도에 대한 입장을 왜곡하는 것은 대단히 정략적인 정치공세”라고 말했다.
문 후보측 노영민 공동선대본부장은 “‘5ㆍ16 쿠데타’ 평가에 이은 또 하나의 역사 뒤집기 시도를 보면서 박 후보의 박 전 대통령 감싸기를 위한 역사왜곡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심각한 우려를 갖는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한일간 첨예간 갈등 현안인 독도 문제를 여야 정치권이 상대편을 깎아 내리는 정쟁거리로 삼고 있는 것에 대해 ‘볼썽사납다’는 지적도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