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ㆍ튀니지 등 이웃나라는 물론 미국ㆍ유럽ㆍ일본 등 국제사회는 지난 2011년 민주화혁명 이후 정치ㆍ치안이 극도로 취약해진 북아프리카 지역이 또다시 국제적인 화약고로 변할 수 있다고 보고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말리 내전은 프랑스군 개입에 이어 세네갈ㆍ나이지리아 등지에서도 말리 정부군에 지원병을 보내면서 확전 양상을 보이고 있고 알제리 사건은 국제사회의 공조 실패로 커다란 인명피해를 낳으면서 제2, 제3의 유사사건 발생 가능성만 높아졌기 때문이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오는 18일로 예정됐던 유럽연합(EU) 회원국지위 재협상 관련 발표를 전격 연기했다. 이번 알제리 납치사건에 영국계 기업인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과 영국인들이 상당수 포함됐기 때문이다.
캐머런 총리는 "심각한 알제리 상황이 더 나빠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혀 이전과 달리 말리 내전에 직접 개입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했다. 캐머런 총리는 납치세력에 대한 알제리 정부의 성급한 무력진압에 불만을 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알제리에서 일본인 피해자가 발생하자 총리 취임 이후 첫 해외순방이었던 동남아 방문일정을 축소하고 19일 새벽 급거 귀국하기로 했다. 리비아와 함께 일본이 북아프리카 공략의 전진기지로 삼고 있는 알제리에서 자국민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유사 사건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알제리에는 17개 일본 기업이 진출해 천연가스ㆍ원유ㆍ건설 등의 사업을 벌이고 있다.
미국 정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발언을 아끼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알제리 사태가 리비아로 번질 경우 중동정책이 더욱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언론들은 알제리 정부가 납치사건을 벌인 이슬람 무장세력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미국 정부에 사전통보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미국의 중동전략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말리의 이슬람반군 지도자가 미국 국방부 프로그램을 연수한 적이 있다"며 "미국이 지난 10년 동안 테러정책과 관련해 헛돈을 썼다"고 비판했다.
한편 각국 정부가 고심을 거듭하는 동안 현지진출 기업의 우려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이슬람 무장세력의 공격 리스크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는데다 북아프리카 지역을 휩쓸었던 도미노식 민주화혁명의 후유증을 딛고 최근 들어서야 현지사업을 재개했는데 또다시 정정불안이 고조될 경우 치명타를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이슬람 무장세력의 공격 대상이 된 BP의 인아메나스 가스전의 경우 일일 천연가스 생산량이 5만~6만배럴에 이르는데 사건 직후 곧바로 생산이 중단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알제리 사건 이후 외국 에너지 기업들이 근로자들을 철수시키거나 현지 시설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알제리 정부가 외국 에너지 기업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