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프라이머리 이슈를 먼저 제기한 쪽은 친이명박계인 심재철 최고위원이었다. 심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 당 사무처에서 실무 검토를 해주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하지만 친박근혜계인 정우택∙유기준 최고위원은 즉각 이견을 나타냈다. 정 최고위원은 "우리가 공식적으로 오픈 프라이머리를 실무 검토시키고 공식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부 검토를 하기로 결정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왜 안 되는지 이유를 찾아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최고위원도 "대선 후보 선출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입장조율을 위해 경선 룰에 다시 손을 대고 바꿔야 한다면 논의 과정에서부터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오픈 프라이머리는 비박(非朴) 대선 주자들이 당내 경선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며 내세우는 방안이다. 하지만 친박계에서는 역선택의 우려 등을 이유로 지금까지 도입 반대 입장을 나타냈었다.
실제 내부 검토를 하는 것은 최고위원 전원이 찬성했지만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자체에 대해 절대 다수인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비박 대선 주자들이 얘기하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계파에 상관없이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유 최고위원도 "(대선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역선택의 위험이 있는데다 정당정치가 실종될 수도 있다"고 부정적 의견을 내비쳤다.
이한구 원내대표는 "지금이 50% 국민경선제(일반국민 30%, 여론조사 20% 반영)이지 않나. 그 정도만 돼도 국민 여론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