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근혜계는 우선 박 전 위원장이 한 '국가관이 의심스러운 사람이 국회의원을 해서는 안 된다'는 발언을 국회의원 제명으로 연결 짓는 데 반대했다. 박 전 위원장의 발언 이후 새누리당에서는 '간첩 출신 의원'이라는 말이 등장하는 등 종북을 근거로 한 야당 의원 제명 움직임이 일었다.
친박계이자 종북 논란에 강경 입장을 견지해온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은 8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박 전 위원장이 두 사람을 잘라내라고 한 게 아니라 국가관이 의심스러우니 스스로 물러나는 게 옳은 것 같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국가관이나 사상을 검증해 국회에서 제명하겠다는 당 지도부의 방침은 잘못된 것"이라면서 "사상을 어떻게 검증하느냐. '내가 과거에는 주사파였지만 지금은 전향했다'는 한마디면 끝난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통합진보당의 이석기ㆍ김재연 의원은 부정과 조작으로 국회의원이 됐고 당에서도 제명했으니 이를 근거로 국회에서 제명하겠다는 것이지 사상을 갖고 제명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이한구 원내대표는 두 사람의 제명을 추진하는 근거로 부정선거와 국가관을 모두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의원은 민주통합당 임수경ㆍ이해찬 의원의 자격심사 의지를 내비친 황우여 대표에 대해서도 반대의견을 나타냈다. "두 의원은 민주통합당 지도부가 출당시키든 알아서 할 일"이라면서 "(통합진보당 사태와 달리)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할 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상돈 전 비상대책위원도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박 전 위원장이 국회법 조항에 오해가 있었는지 이런 게 제명 대상이 된다고 해 증폭됐는데 그런 부분이 좀 잘못됐다고 봐 바로잡아 드렸다"고 말했다.
그는 "통합진보당 내 특정 계파를 넘어 (종북 공세의) 대상을 확산하면 이것이 오히려 지나치다는 비판에 봉착할 수 있다"면서 "국회의원을 상대로 일일이 사상검증을 하겠다는 것은 굉장히 무리이고 설득력이 없다"고 전했다.
조동원 홍보기획본부장은 "당이 미래를 얘기해야 하는데 자꾸 종북 논란을 말해봐야 좀 지나면 유권자는 식상해 한다"면서도 "야권에서 자꾸 문제를 일으키니 이야기를 안 할 수도 없다"고 토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