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노사가 11일 노조의 파업을 앞두고 10일 마지막 협상을 시작했다. 노조가 파업을 하더라도 대체인력이 투입돼 지하철은 정상 운행되지만 조작 미숙이나 파업 장기화시 기관사 피로누적에 따른 안전사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시민의 피해가 예상된다.
이날 저녁 늦게까지 계속된 협상에서 노조는 정년을 58세에서 60세로 늘려줄 것을 주장했다. 지난 네 차례의 단체협약에서 공무원 정년과 연동해 서울메트로의 정년도 연장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이행되지 않고 있는 만큼 이번 파업을 강행해서라도 정년을 늘리겠다는 의지다.
서울메트로 사측은 단체협약 조항에 '정년 연장은 향후 공무원의 정년연장과 연동해 추진한다'고 돼 있는 만큼 바로 정년을 연장하지 않고 노사가 협의해 추진할 일이라며 약속을 어기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지난해 순손실이 2,114억원에 달하는 가운데 정년 연장시 향후 5년간 1,300억원이 더 들어가는 만큼 현 시점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어 정부의 변경된 지침에도 불구하고 10년 이상 유지해온 퇴직금 누진제(퇴직수당)를 폐지해야 한다고 되레 노조를 압박하고 있다.
노사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10월30일부터 이어진 교섭이 잇따라 결렬됐으며 이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과 서울모델협의회(시 산하기관 노사정협의회) 중재안을 놓고 노사는 막판 최종협상을 벌였다. 입장 차이가 쉽게 좁혀지기 어려운 만큼 협상은 밤을 넘기며 11일 오전4시 파업 돌입 시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파업이 현실화돼도 지하철은 정상 운행한다. 지하철은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에 노조 조합원 8,707명 중 3,002명은 평소대로 출근하며 협력업체 지원인력 2,150명, 퇴직자ㆍ경력자 87명 등 대체인력이 투입된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6일부터 10일까지 열차운전 경험이 있는 퇴직자와 경력자에 대한 교육을 마쳤다"며 "파업하더라도 승객 입장에서 느끼는 불편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메트로는 또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직원 피로가 누적되는 만큼 추후 대책 논의를 통해 지하철 심야 1시간 연장운행을 자정까지 단축하는 등 보완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그러나 기존 숙련 직원들이 대거 파업에 참여해 지하철 운용이 평소보다 매끄럽지 못하고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노조 간부는 "예전과 달리 전동차에 디지털장비가 장착됐고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돼 비숙련 기관사가 운전할 경우 열차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