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6위' 한국 여성들 진짜로 강하다
작년 출생아 기대수명 男 77.6년, 女 84.5년
2011년에 태어난 남자 아이가 80세까지 살 확률은 50%를 약간 넘었다. 여자 아이는 4명 중 3명이 80세까지 살 것으로 기대됐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1년 생명표’를 보면 지난해 태어난 아이의 ‘기대수명’은 81.2년이다. 작년보다 0.4년, 10년 전보다는 4.7년 증가했다. 남자는 77.6년, 여자는 84.5년으로 전년보다 모두 0.4년씩 늘었다. 10년 전보다는 각각 4.8년, 4.4년 증가했다. 출생아의 남녀간 기대수명 차이는 6.8년이었다. 1985년 8.4년을 정점으로 2007년까지 감소하다가 최근에는 6.7~6.9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연령에서 더 살 수 있는 ‘기대여명’을 보면 ▦ 20세 남자 58.2년, 여자 64.9년 ▦ 40세 남자 39.0년, 여자 45.4년 ▦ 60세 남자 21.4년, 여자 26.5년 등이었다. 현재 40세 남자라면 앞으로 39년, 40세 여자는 45.4년을 더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작년 출생아가 80세까지 살 확률은 남자가 52.5%, 여자가 75.2%로 여자가 22.7%포인트나 높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80세까지의 생존확률은 남자는 16.3%포인트, 여자는 14.8%포인트 늘었다.
작년 출생아가 65세까지 살 확률은 남자 84.8%, 여자는 93.6%였다. 100세까지의 생존확률은 남자는 0.9%에 불과했으나 여자는 3.9%로 높았다. 현재 45세인 사람이 80세까지 살 확률은 남자가 54.3%, 여자는 76.7%였다.
기대수명은 연령별ㆍ성별 사망률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된다고 가정했을 때 0세 출생자가 향후 몇 년을 더 생존할 것인가를 통계적으로 추정한 기대치다. 반면 기대여명은 현재 특정 연령에 있는 사람이 향후 얼마나 더 생존할 것인가 기대되는 연수를 뜻한다.
우리나라 남성의 기대수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0.6년, 여성은 2.0년 더 높았다. 우리나라 남성의 기대수명은 지난 2008년 OECD 평균을 추월한 이후 줄곧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여성은 2003년에 이미 OECD 평균을 넘어섰다. 그러나 우리나라 남성의 기대수명은 OECD 34개국 가운데 20위로 처진 편이었다. 여성은 6위로 상위권이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나라와 비교하면 남성은 스위스보다 2.7년, 여성은 일본보다 1.9년 각각 짧았다. 남녀간 기대수명 차이는 6.8년으로 OECD 평균인 5.5년보다 높았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