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한중FTA 타결 합의는 우리 기업들이 ‘세계의 소비시장’으로 떠오른 중국 내수시장에서 활로를 열 수 있는 결정적인 수단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일이다. 중국은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의 26.1%를 차지해 미국과 일본을 합친 것보다도 비중이 크다. 무역규모에서도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으나 우리 기업들은 아직 그 과실을 제대로 따먹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기업의 중국 수출 가운데 절반 가량이 가공무역인데다 수출되는 상품도 품질이나 가격 면에서 변변한 경쟁력을 갖지 못한 탓이다. 하지만 중국과의 FTA가 연내 타결된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20~30%에 달하는 관세장벽이 사라져 우리 기업이 중국 내수시장을 뚫을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원화·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역시 위안화 허브로 가는 지름길이다. 직거래 시장이 개설되면 우리 기업들은 달러화 환전 없이 무역대금을 위안화로 결제해 최소 3~5%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서울을 위안화 역외허브로 육성하려는 정부의 계획을 앞당길 수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중교역은 2,300억달러에 육박하는 데 비해 위안화 결제비중은 1.6%에 불과했다. 위안화 조달과 운용기회를 적극 확대해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 중요한 건 타이밍이다. 올해 1∼5월 대중 수출이 0.1% 증가에 그치는 등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고 위안화 허브 경쟁에서도 홍콩·대만 등에 뒤지고 있다. 그만큼 한중FTA와 원화·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이 시급한 이유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