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떠나면서 후배들이 값진 일을 하고자 할 때 밑천이 될 만한 돈을 남겨두고 싶었고 그래서 기부를 결정했습니다."
이달 말 KOICA를 퇴임하면서 퇴직금에 사재까지 털어 1억원을 기부하기로 한 장현식(58·사진) 선임이사는 "직장에서 일하면서 좋은 사람들을 만날 기회를 얻게 된 것에 감사하고 떠날 때는 반드시 무언가 되돌려주고픈 생각이 들었다"며 기부 이유를 말했다.
장 이사는 23년간 KOICA에서 근무하며 과거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는 KOICA에서 개발전문가로서 능력을 발휘하며 한국의 무상원조 현장에 서 있었다. 그러나 자신이 거둔 성과를 내세우기보다는 KOICA에서 묵묵히 일했던 시간이 인생에서 가장 많은 것을 배운 시기라며 23년간의 회사 일을 되돌아봤다.
"KOICA에서 일하며 빚을 참 많이 졌어요. 개인적으로는 큰돈이지만 이렇게라도 빚을 갚고 후배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싶어요."
언젠가 ODA 사업을 하며 만났던 지구촌 빈곤 아동들을 조금이라도 도와주고 싶었던 마음이 기부를 선택한 또 다른 이유이기도 하다.
그는 이번 일로 'KOICA 퇴임 기부 1호'라는 기록을 쓰게 됐지만 오히려 동료 임원과 후배 직원들이 자신의 기부에 부담을 느낄까 봐 솔직히 걱정된다고 했다. 자신 또한 월급쟁이였기 때문이다. 장 이사가 내기로 한 기부금은 그가 지난 한 해 KOICA에서 받은 임원 연봉(8,200만여원)을 크게 웃돈다. 그런 탓에 기부금 1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회사를 떠나며 받을 퇴직금에다 노후 대비용으로 들어뒀던 개인 펀드까지 해지해 돈을 보태기로 했다.
그는 "(후배) 직원들을 위해 뭐라도 해줬으면 한다는 말을 아내에게 꺼냈더니 비용이 허락되는 대로 하라며 흔쾌히 동의했다"며 "이번 기부를 계기로 돈이 조금씩 모여 KOICA 후배들, 어려운 세계 빈곤 아동들이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외대 영어과를 졸업한 뒤 고려대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각각 행정학과 정치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장 이사는 지난 1991년 정부가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변신을 시도하며 만든 KOICA 창립 멤버로 합류했다.
그가 KOICA에 입사했을 당시는 정부 내 ODA에 대한 전략도, 방향도 없던 시절. 동료 직원들과 함께 미국 국제개발청(USAID), 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 선진 원조기관들의 사업과 수행방식을 비교·분석해가며 ODA 업무의 문을 열었다.
이후 KOICA ODA 업무에 관한 정책 수립을 주도했고 2007년에는 국제 개발과 원조 분야에 관심 있는 학자들과 함께 '국제개발협력학회(KAIDEC)'를 발족했다.
장 이사로부터 뜻밖의 선물을 받게 된 KOICA는 장 이사 기부금을 토대로 KOICA 전·현직 직원들이 참여하는 복지재단을 사외에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장 이사가 낸 종잣돈에다 직원들이 십시일반 팔을 걷어붙인다면 'KOICA'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복지사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KOICA는 31일 오후 창립 23주년 기념식과 함께 이달 말 회사를 떠나는 장 이사의 정년 퇴임식을 열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