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협력해 캄보디아에 '캄코(CAM-KO)'라는 새로운 도시를 만들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통해 캄보디아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에 대해 캄보디아 정부를 대신해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습니다."(시소와트 시리라트 캄보디아 국왕고문장관)
"최근 캄보디아에 증권거래소가 개장됐는데 우리나라 증권거래소에서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단순한 물적 지원에서 벗어나 캄보디아 경제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KSP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겠습니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1차관)
신제윤 기획재정부 제1차관과 시소와트 시리라트 캄보디아 국왕고문장관은 16일 서울경제신문주최로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12-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 좌담회'에 앞서 가진 간담회에서 KSP사업에 대해 진솔한 이야기를 나눴다.
시소와트 장관은 "캄보다아 경제가 최근 많이 악화됐지만 한국이 KSP사업을 통해 큰 도움을 주고 있다"며 "특히 주택 재건축ㆍ재정비 사업을 하는 데 한국 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과의 인연을 직접 소개하며 "이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부터 캄보디아 정부에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줬다"면서 "우리 정부는 이 점을 아직도 매우 감사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신 차관은 "과거 서양의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에 원조할 때 물질적인 지원에 치중한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한 뒤 "우리 정부는 과거 우리의 경제발전개발경험을 캄보디아 측과 어떻게 나눌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두 사람은 한국과 캄보디아가 과거 비슷한 역사를 공유한 점이 양국 간 경제 협력에 도움이 된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시소와트 장관은 "지난 1950년대 한국이 내전으로 경제가 피폐했던 것처럼 캄보디아도 100만명이 넘는 사람이 내전으로 고통을 겪는 등 비슷한 역사를 갖고 있다"면서 "한국의 KSP사업이 우리에게 이질감 없이 잘 적용되는 것은 이런 역사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한국의 KSP사업을 통해 인재를 다루는 방법이나 교육 등과 같은 부분도 개발 경험을 전수 받고 싶다"고 덧붙였다.
신 차관이 K팝을 내세운 한류 현상에 대해 언급하자 시소와트 장관은 "우리 자녀들도 K팝을 매우 좋아하는 한류 팬"이라면서 "오늘 공연이 예정된 티아라와 꼭 사진을 찍어올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편 신 차관은 이날 오후 진행된 'KSP의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의 좌담회에서 KSP사업의 도입 배경과 성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신 차관은 "우리나라는 서구 선진국과 달리 많은 개발도상국이 처해 있는 식민지배ㆍ내전 등과 같은 여건을 극복하고 경제 발전에 성공했다"면서 "이 점이 전세계 개도국에 희망을 주고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KSP사업에 대해 "고기를 잡아주기보다 고기 잡는 법을 알려주는 데 초점을 두는 대표적인 한국형 개발협력 모델"이라면서 "지난 8년간 34개국에 대해 300여개의 정책자문을 지원해왔으며 대다수 협력국가에서 자문 결과가 실제 정책으로 반영되는 등 경제·사회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해왔다"고 소개했다.
신 차관은 "우리 정부는 KSP사업을 통해 개도국 경제발전을 지원해왔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 제고에도 크게 기여했다"면서 "정책한류ㆍ경제한류라는 말에서도 표현되듯 자문 사항이 대상국의 정책에 반영되고 후속조치로 이어지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신 차관은 KSP사업의 구체적인 성과로 2006년 베트남 개발은행 설립, 2007년 쿠웨이트 국가개발계획 수립, 2008년 우즈벡 나보이 경제특구 지정 등을 꼽았다.
신 차관은 KSP의 발전 방향에 대해 "협력 대상국의 다양한 수요에 적절히 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양적인 측면에서 KSP사업을 지원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고 국가별 요청 내용도 다양화하고 있는 만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원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지난해 사업 수요조사를 할 때 40여개국이었지만 올해는 50여개국으로 늘었다"면서 "질적인 측면에서는 정책자문의 콘텐츠와 인력을 확충하고 사업 준비 및 평가를 철저히 하는 등 정책자문의 품질 제고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