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재관 박사 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역사 교육과정 연구팀은 12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공학원 제1세미나실에서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공개 토론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동아시아사·세계사 4개 과목 시안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사 시안에서 현재 근현대사의 비중이 과다하다는 의견이 많아 반영했다"며 "전(前)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을 5대5에서 6대4로 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11월까지 2차 연구에 착수해 교육과정 목표, 내용체계 등을 수정, 보완해 시안을 구체화하고 2018년부터 일선 학교에서 개정된 교과서가 사용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이번 역사교과서 개정으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나는 부분은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성장과 가야, 신라의 삼국통일,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이다. 이 시기의 역사를 소화하는 '고대 국가의 발전'이라는 대주제가 별도로 구성된다. 이는 한국 고대사를 강화해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의 역사 왜곡에 대항한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는 통일신라·발해를 따로 서술했다면 이번 교육과정에는 '남북국'이라는 용어가 사용돼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이라는 소주제에 통일신라와 발해의 사회상 등을 다룰 예정이다. 교육과정 성취수준에 '발해의 성립 과정을 통해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등을 설정해 학생들에게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는 인식을 확실히 해 중국의 동북공정 등 고대사 왜곡에 대해 맞설 필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근현대사 비중 축소에 대한 반론도 있다.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역사교육에서 근현대사가 중시되는 점은 우리가 몸담은 현재와 이어진 시기이기 때문"이라며 "왜 비중이 줄어들었는지를 정확히 설명해야 한다"고 했다. 이 밖에 연구팀은 전체적으로 이번 교육과정 개편에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는 데 가장 공을 들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학교 과정에서는 역사를 연대기적 구성이 아니라 주제 중심으로 구성하고 고등학교 한국사는 통사로 구성하되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정치·토지 제도 등 제도사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만 제시할 방침으로 내용을 조절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