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6·4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현역 국회의원들이 각 정당의 광역단체장 후보로 선출되고 있는데다 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의원직이 박탈된 지역을 포함하면 최소 10곳 이상의 선거구에서 재보선이 치러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재보선 확정·예상 지역이 여야 격전지에 몰려 있는 탓에 선거 결과에 따라 새누리당의 과반의석이 무너질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여야의 광역단체장 후보로 확정된 인사 중에서 현역 의원은 12일 현재 총 9명이다. 현역 의원이 지방선거에 후보자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의원직을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은 7·30 재보선 지역에 포함된다.
새누리당 소속으로는 서병수(부산 해운대·기장갑) 의원이 부산시장, 유정복(경기 김포) 의원이 인천시장, 박성효(대전 대덕) 의원이 대전시장, 김기현(울산 남을) 의원이 울산시장 후보로 선출됐다. 남경필(경기 수원병) 의원, 윤진식(충북 충주) 의원은 각각 경기지사, 충북지사 후보로 확정됐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김진표(경기 수원정) 의원, 이낙연(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 의원이 당내 경선을 거쳐 각각 경기지사, 전남지사 후보로 뽑힌 상태다. 최근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이용섭 의원도 무소속으로 광주시장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재영(경기 평택을) 전 새누리당 의원, 신장용(경기 수원을) 전 새정치연합 의원이 지난 1월 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해 이들 지역에서도 재보선이 치러지게 된다.
이렇게 확정된 지역만 총 11곳이다. 지난해 4·24 재보선(3곳), 10·30 재보선(2곳)에 비해 월등히 큰 규모이며 역대 재보선과 비교해도 이번 7·30 재보선은 '매머드급'이 될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뿐만 아니라 정두언(서울 서대문을) 새누리당 의원, 성완종(충남 서산·태안) 새누리당 의원, 배기운(전남 나주) 새정치연합 의원, 김선동(전남 순천·곡성) 통합진보당 의원은 대법원 선고를 기다리고 있다. 6월 30일 전에 당선무효형이 확정되면 7·30 재보선 지역에 포함된다.
안덕수 새누리당 (인천 서구·강화을), 최원식 새정치연합(인천 계양을), 이상직 새정치연합(전북 전주완산을) 의원에 대해서도 파기환송심이 진행되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7·30 재보선 지역이 최대 20곳 이상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야 입장에서는 규모도 문제지만 재보선 확정·예상 지역이 격전지로 꼽히는 수도권·충청에 몰려 있다는 점이 신경쓰이는 대목이다. 실제 현재 156석으로 원내 과반의석(151석)을 점하고 있는 새누리당이 7·30 재보선 확정 선거구 11곳 중에서 승리를 장담할 수 있는 지역은 2곳(부산·울산) 정도에 불과하다. 수도권·충청은 선거 결과를 쉽게 예측하기 어려우며 호남은 지역 정서상 새누리당 인사의 당선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나머지 지역에서 새누리당이 전패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전개될 경우 원내 과반의석이 무너지게 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충청 지역은 '분위기'에 따라 표심의 향방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며 "여권이 지방선거에서 패배한다면 바로 뒤이어 치러지는 7·30 재보선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