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성장에는 부작용이 따르기 마련이다. ETF가 활성화된 이면을 보면 수익률 등락 폭이 지수 움직임의 1.5~2배에 달하는 레버리지 ETF와 지수 하락에 베팅하는 인버스 ETF의 거래량이 급증했다. 실제로 2010년 12월 전체 ETF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3.4%, 26%였던 KODEX 레버리지와 KODEX 인버스는 이달 42.45%와 43.9%로 급증했다. ETF 시장이 커지는 과정에서 일부 운용사로의 쏠림 현상이 심해지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후발주자들의 경우 선두권 운용사의 아성을 무너뜨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정 짓고 모두 ETF 시장에서 2인자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 몰두하고 있을 정도다.
공급자가 많을수록 보수나 수수료 경쟁은 치열해지고 이는 투자자의 효용 증가로 연결된다. 또한 상품이 다양할수록 개별 투자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포트폴리오 구성이 용이하다. 그러나 시장 전체로 봤을 때는 공급자 수를 줄이는 것이 효율적일 수도 있다. 유사한 상품 공급을 여러 공급자가 나눠서 할 경우 규모의 경제의 이득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운용에 큰 비용이 들지 않는 ETF 시장도 마찬가지다. ETF 시장이 커지고는 있지만 규모가 영세한 펀드도 늘어나면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제는 이들 영세 펀드를 어떻게 관리할 것이냐 하는 데 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이 일부 수익성이 없는 ETF를 정리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영세 펀드가 난립한다고 해서 이를 강제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금융당국의 역할은 시장 원리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강제로 칼을 들이대는 등 시장을 인위적으로 조정하기보다는 진입과 퇴출의 길을 확대해주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를 통해 탄생 10년을 맞은 국내 ETF 시장이 한 단계 더 성장하길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