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울주군 온산읍 처용리 일원에 위치한 신일반산업단지로 향하는 길은 험했다.
초행이라는 점도 있었지만 이정표가 잘 보이지 않아 산단 진입로를 찾지 못해 한참 애먹었다. 수 차례나 입주업체와 연락을 한 후 겨우 산단 동쪽 진ㆍ출입로를 찾아서 들어가니 듬성듬성 입주한 공장들이 보였다.
하지만 아직도 곳곳에서는 공장부지 조성공사가 한창이었다. 포장된 진입로는 대형트럭이 자주 왕래하기 때문인지 다져진 토사로 누렇게 덧칠돼 있었다. 500m쯤 들어가자 포장도로가 사라지고 비포장도로만 보였다. 각 업체로 이어지는 산단 내 도로는 아직까지 포장이 안돼 있었다. 맞은편에서 달려오던 대형트럭은 뿌연 먼지 폭풍을 일으키며 지나갔다.
울산 신일반산단은 울산시가 산업시설 부지를 마련키 위해 지난 2008년부터 240여만㎡ 규모로 조성 중이다.
현재 38개 업체에 분양이 됐고 이 가운데 15개 업체가 입주했다. 입주 업체들은 울산시에 기반시설 공사를 줄기차게 요구해 오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는 협의회를 꾸려 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울산시는 '2012년 말 준공'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A업체에는 굳건한 옹벽이 만들어져 있었다. 알고 보니 이 옹벽은 입주업체에서 건축한 것이었다. 5억원의 비용이 들었다. 이 업체 관계자는 "산단 기반시설인 옹벽조차 없어서 시에 빨리 처리해 달라고 했으나 함흥차사라 갑갑한 마음에 우리가 옹벽 공사를 직접 했다"고 말했다.
B업체는 공장 경계가 정해지지 않아 설비 증설을 못하고 있다. 공장 시설 배치 계획이 틀어지는 바람에 제품 반ㆍ출입 동선도 헝클어져 '원스톱' 생산이 불가능해졌다. 어떻게든 납기일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고는 있지만 각 부서마다 과부하가 걸린 상황이다. B업체 관계자는 "공장 경계를 명확히 정해줘야 그에 따른 공장 설비 증설을 계획할 텐데 시가 나서지 않는 현재로서는 답이 없다"고 푸념했다.
C업체의 경우 산단 기반시설 설치 지연과 당초 계약 부지의 축소로 공장부지 면적 800㎡가 축소됐다. 기반시설, 부지 축소로 인해 다른 업체들도 컨테이너 야적장이 축소되고 연구동, 폐수처리장의 위치가 변경되는 피해를 입었다.
산단 옆으로 개설 중인 국도 31호선 연장도로와 관련해 울산시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부지 소유권에 대한 협의를 못하고 있어 국도와 인접한 업체들은 공장 건립에 차질을 빚고 있다.
오ㆍ폐수 및 우수관로 공사도 안돼 있어 답답한 입주업체가 직접 처리한 경우도 있었다. 한 업체의 관계자는 "한 때 상수도도 들어오지 않아 각 업체들마다 지하수를 쓰기 위해 땅을 파기도 했었다"며 "당시에는 공장에 설치된 간이화장실이 귀빈용으로 사용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정비가 안된 진입로에 대한 불만도 높았다.
또 다른 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울산에 눈이 많이 온 날 하필 수주 업체에서 시찰을 왔다가 공장을 둘러보지도 못하고 차를 돌려 가버렸다"며 "수십억원의 거래처가 날라가 버렸고 우리 업체를 적극 추천한 그 회사 간부도 결국 옷을 벗었다"고 말했다. 이어 "매출 손실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십수년간 쌓아온 인간관계도 한 순간에 날아가버렸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신일반산단 입주기업으로 구성된 협의회는 최근 국민권익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산단협의회 관계자는 "시장과의 면담을 통해 기초 기반시설공사를 지난해 말까지 약속하고도 어떤 책임 있는 조치가 없다"며 "피해 보상과 함께 관련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