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유럽인들의 사랑과 연애, 결혼과 이혼 등의 성 풍속사를 살펴보는 책이다. 중세유럽인들이 어떻게 사랑하고 결혼했는지를 들여다 본다.
눈길을 끄는 풍속은 '찾아가는 밤'과 '결혼을 도와주는 남자'. "총각들은 중세의 기사를 흉내 내면서 한밤중에 지붕을 타거나 다락방 창문을 통해서 어렵게 처녀의 방을 찾아갔다. (중략) 이들은 함께 옷을 입은 채 침대에 누워서 이런저런 대화를 나눌 수 있을 뿐이었다. 만약 이런 절차를 무시한 채 처녀의 방에서 밤을 지새우거나 함부로 하겠다고 난동을 피우는 총각은 마을 사람들에게 호된 처벌을 받았다."
'찾아가는 밤'은 게르만족 미혼남녀 사이에서 유행했는데 총각이 지붕이나 다락방 창문 등 위험한 경로를 택해 마음에 드는 처녀의 방을 찾아 구애하는 풍속이다. 다만 처음 방문했을 때는 처녀와 섹스를 하거나 에로틱한 행동을 해서는 안됐다. 서로 마음에 들면 총각은 몇 번 더 처녀를 방문하면서 잠자리를 갖게 되고 결혼까지 이어지게 된다.
독일의 뫼렌 지방에는 지금도 "결혼은 창문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말이 남아 있을 정도로 이 '찾아가는 밤' 풍속은 중세시대 게르만족의 총각처녀들에게 널리 유행했다고 한다.
'결혼을 도와주는 남자'라는 게르만족 풍속도 낯설다. 아이를 갖지 못하는 이유가 남자에게 있을 때는 남편이 직접 이웃의 '결혼을 도와주는 남자'를 찾아가 자기 부인과 잠자리를 가져달라고 부탁했다. 대를 잇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던 중세의 사회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풍속이다. 이런 일을 치르고 난 뒤에도 도움을 준 부부나 도움을 얻은 부부 사이의 신뢰나 관계가 깨진 적은 없었다. 이를 통해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잠자리가 성사되면 남편이 첫날밤을 치른 이들에게 '신부 닭'이라고 불리는 닭고기 요리를 대접하며 시중까지 들었다고 저자는 소개한다.
하지만 중세의 이런 성 문화는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스도교의 확산 속도에 따른 차이 때문이다. 그리스도교가 일찍 전파된 지역은 종교가 인간의 우위에 서서 일상의 모든 것을 지배한 반면 그리스도교의 전파가 상대적으로 늦은 지역은 그리스도교의 교리보다는 토착문화의 전통을 계승, 유지한 사람들이 더 많아 성 문화도 비교적 개방적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당시 유행했던 여러 종류의 결혼도 소개한다. 귀족이나 왕족 간에 성행한 문트 결혼, 신분이 높은 남자가 정부로 삼은 여인과 하는 프리델 결혼 등을 에피소드와 함께 전한다. 1만5,000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